전국 건축물 총 7,354,340동… 연면적 41억 3천만㎡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3-02 17:55:30
  • -
  • +
  • 인쇄
전년 대비 인허가 3.6% 증가, 착공 18.7% 감소, 준공 11.2% 감소
▲ 용도별 건축물 현황 및 인허가 추이 현황

[뉴스스텝] 국토교통부는 ’22년도 전국 건축물의 동수는 작년보다 40,076동(전년 대비 0.5%)이 증가한 7,354,340동이며, 연면적은 작년보다 75,097천㎡*(전년 대비 1.9%)이 증가한 4,131,340천㎡라고 발표했다.

[ '22년 전국 건축물 현황]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16,089동(41,686천㎡) 증가한 2,051,614동(1,877,761천㎡), 지방은 23,987동(33,410천㎡) 증가한 5,302,726동(2,253,578천㎡)이다.

용도별 면적을 살펴보면, 주거용(46.3%, 1,913,003천㎡), 상업용(22.1%, 915,040천㎡) 건축물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전년 대비 증가율은 공업용(2.9%, 12,575천㎡), 상업용(2.3%, 20,364천㎡)이 높게 나타났다.

’22년 전국 건축 인허가현황을 집계한 결과, 전년 대비 허가 면적은 3.6% 증가했고 착공은 ∆18.7%, 준공은 ∆11.2% 감소했다.

1.건축물 현황 변화 추이

최근 10년간 건축물 동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0.8%, 연면적의 연평균 증가율은 2.3%로, 연면적의 증가율이 더 큰 것으로 보아 규모가 큰 건축물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국의 건축물 동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년대비 증감률은 수도권 0.8%, 지방 0.5%로 수도권은 전년대비 증가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국의 건축물 연면적도 증가 추세이나, 증가폭(수도권 2.3%, 지방 1.5%)은 전년 대비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2.용도별 건축물 현황

1) 주거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세부 용도별 면적은 아파트가 1,218,488천㎡(63.7%)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332,079천㎡(17.4%), 다가구주택 171,640천㎡(9.0%), 다세대주택 132,226천㎡(6.9%), 연립주택 44,017천㎡(2.3%) 순이다.

최근 5년간 동수, 연면적의 연평균 증가율은 각 –0.3%, 1.9%로, 이는 1개 동의 규모가 작은 단독주택은 감소(-0.5%, -0.2%)하고, 규모가 큰 아파트의 증가율(2.3%, 2.8%)이 높기 때문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아파트가 610,621천㎡(67.9%)로 가장 크고, 다세대주택 100,542천㎡(11.2%), 단독주택 82,546천㎡(9.2%), 다가구주택 75,212천㎡(8.4%), 연립주택 23,784천㎡(2.6%) 순이며,지방은 아파트가 607,866천㎡(59.9%)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249,532천㎡(24.6%), 다가구주택 96,428천㎡(9.5%), 다세대주택 31,683천㎡(3.1%), 연립주택 20,233천㎡(2.0%) 순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 현황을 살펴보면 단독주택은 전남(43.7%), 제주(35.6%), 경북(34.5%)이 다가구주택은 대전(15.7%), 대구(13.7%), 제주(12.2%) 순으로 높으며, 아파트는 세종(84.8%), 광주(75.7%), 부산(73.5%), 연립주택은 제주(12.0%), 서울(3.3%), 강원(2.5%), 다세대주택은 서울(15.0%), 인천(12.0%), 제주(10.5%) 순이다.

2) 상업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세부 용도별 면적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289,355천㎡(31.6%)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242,301천㎡(26.5%), 업무시설 174,086천㎡(19.0%), 판매시설 66,097천㎡(7.2%), 숙박시설 54,256천㎡(5.9%) 순이다.

상업용 건축물 연면적의 최근 5년간 연평균 상승률은 2.9%로 주거용(1.9%)보다 크며, 전년대비 증감률은 업무시설(3.7%)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33,024천㎡(29.0%)로 가장 크고, 업무시설 118,938천㎡(25.9%), 제1종근린생활시설 106,394천㎡(23.2%), 판매시설 39,487천㎡(8.6%), 숙박시설 16,220천㎡(3.5%) 순이며,지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56,330천㎡(34.3%)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135,906천㎡(29.8%), 업무시설 55,147천㎡(12.1%), 숙박시설 38,035천㎡(8.3%), 판매시설 26,609천㎡(5.8%) 순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 현황을 살펴보면 제1종근린생활시설은 전북(36.3%), 경북(34.9%), 충북(34.7%)이, 제2종근린생활시설은 경북(40.5%), 충북(38.4%), 전북(37.4%)이 높으며,판매시설은 서울(10.0%), 대전(9.6%), 부산(8.2%)이, 업무시설은 서울(34.5%), 인천(23.4%), 부산(20.0%)가 높다.

3.건축물 말소 현황 등

1) 건축물 말소 및 경과년수별 현황

말소된 건축물은 주거용이 44,112동(전체 주거용 건축물 중 1.0%)으로 가장 많고, 상업용(11,306동, 0.8%), 공업용(1,546동, 0.5%), 교육 및 사회용(744동, 0.4%) 순으로 나타났다.

주거용 건물에서 경과년수 30년 이상 건축물의 동수 비율은 50.5%이며, 상업용에서는 31.0%, 교육 및 사회용은 22.9%로 나타났다.

2) 규모·소유주체별 현황

층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1층 건축물 4,475천동(60.9%), 2~4층 건축물 2,446천동(33.3%), 5층 건축물 183천동(2.5%)이다.

면적별 건축물의 1백㎡ 미만 건축물은 3,228천동(43.9%), 1백~2백㎡ 미만 건축물 1,648천동(22.4%), 3백~5백㎡ 미만 건축물 805천동(11.0%)이다.

소유주체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개인 소유 건축물 5,707천동(77.6%), 법인 소유 건축물 561천동(7.6%), 국·공유 소유 건축물 231천동(3.1%)이다.

3) 인구·토지면적당 건축물 현황

전국 건축물의 1인당 면적은 전년 대비 1.77㎡ 증가(78.55㎡→80.32㎡)했으며, 수도권은 1.70㎡ 증가(70.56㎡→72.26㎡)하고, 지방은 1.87㎡ 증가(86.67㎡→88.54㎡)했다.

지역별 1인당 건축물의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주거용은 충북(41.92㎡), 강원(41.48㎡), 경북(41.30㎡)이, 상업용은 제주(28.97㎡), 강원(21.28㎡), 서울(19.58㎡) 순으로 넓다.

전국 토지면적 대비 총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전년 대비 0.07%p 증가한 4.11%(4,056백만㎡→4,131백만㎡)이며, 수도권은 0.35%p 증가한 15.82%, 지방은 0.04%p 증가한 2.54%로 확인됐다.

시도별 토지면적 대비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서울이 97.2%로 가장 크며, 다음은 부산(32.4%), 광주(21.5%), 대전(21.3%) 순이다.

['22년 전국 건축 인허가]

1.건축 인허가 현황

전년 대비 허가 면적은 3.6% 증가했고 착공은 ∆18.7%, 준공은 ∆11.2% 감소했다.

허가 면적은 전년 대비 3.6% 증가한 178,689천㎡, 동수는 15.1% 감소한 196,477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75,899천㎡(△9,986천㎡, 11.6%↓), 지방 102,789천㎡(16,239천㎡, 18.8%)이다.

착공 면적은 전년 대비 18.7% 감소한 110,237천㎡, 동수는 18.5% 감소한 151,340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52,150천㎡(△14,797천㎡, 22.1%↓), 지방 58,086천㎡(△10,633천㎡, 15.5%↓)이다.

준공 면적은 전년 대비 11.2% 감소한 112,872천㎡, 동수는 12.3% 감소한 150,668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57,203천㎡(△6,445천㎡, 10.1%↓), 지방 55,669천㎡(△7,762천㎡, 12.2%↓)이다.

2.용도별 건축 인허가 현황

1) 주거용 건축물 현황

전년 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건축 허가(9.2%) 면적은 증가했고 착공(△26.6%) 및 준공(△15.7%) 면적은 감소했다.

세부 용도별 허가 면적은 아파트(19.3%)는 증가했고, 단독주택(△15.0%), 다가구주택(△29.4%), 연립주택(△33.1%), 다세대주택(△25.3%)은 감소했다.

2) 상업용 건축물 현황

전년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건축 허가(△4.4%), 착공(△17.2%), 준공(△13.7%) 면적은 모두 감소했다.

용도별 건축 허가 면적은 업무시설(14.0%)은 증가했고, 제1종근린생활시설(△14.1%), 제2종근린생활시설(△8.2%), 판매시설(△31.2%)은 감소했다.

3.고층건물 건축 허가 현황

30층 이상 고층 건축물의 건축 허가 면적은 전년 대비 증가(40.4%)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허가 면적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33.0% 감소하고, 지방은 98.5% 증가 했다.

4. 아파트 건축 인허가 현황

전년 대비 아파트의 허가(19.3%) 면적은 증가 했고 착공(△27.5%) 면적은 감소했다.

지역별 허가 면적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19.9% 감소하고, 지방은 49.7% 증가 했다.

5.규모·소유주체별 변동 현황

1) 규모별 건축 허가/착공/준공

규모별 건축 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88,110동(44.8%), 100∼500㎡ 건축물이 76,536동(39.0%), 500㎡ 이상 건축물이 31,831동(16.2%)이고,착공은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70,112동(46.3%), 100∼500㎡ 건축물이 57,673동(38.1%), 500㎡ 이상 건축물이 23,555동(15.6%)이며, 준공은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63,461동(42.1%), 100∼500㎡ 건축물이 60,467동(40.1%), 500㎡ 이상 건축물이 26,740동(17.7%)이다.

2) 소유주체별 건축 허가/착공/준공

소유 주체별 건축 허가 면적은 법인 119,707천㎡(67.0%), 개인 27,700천㎡(15.5%), 공공 8,602천㎡(4.8%), 기타 22,679천㎡(12.7%)이고, 착공 면적은 법인 76,433천㎡(69.3%), 개인 21,081천㎡(19.1%), 공공 7,550천㎡(6.8%), 기타 5,172천㎡(4.7%)이며,준공 면적은 법인 56,093천㎡(49.7%), 개인 24,379천㎡(21.6%), 공공 3,332천㎡(3.0%), 기타 29,067천㎡(25.8%)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합천군, 가을철 축제 안전관리 총력 대응

[뉴스스텝] 합천군은 10월 10일 오전 10시 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2025년 제4회 안전관리 실무위원회'를 개최하여 가을철 대표 축제인 제4회 황매산억새축제와 제3회 합천황토한우축제에 대한 안전관리계획을 심의했다.이번 안전관리 실무위원회는 부군수를 위원장으로 축제 관련 부서장과 경찰, 소방, 전기·가스 분야 실무위원이 참석하여 축제 안전관리계획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질의 응답하는 시

광교청소년청년센터, 환상의 나라 '광광(光光)랜드' 행사 개최

[뉴스스텝] 수원시청소년청년재단(이사장 최종진) 광교청소년청년센터는 오는 10월 25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청소년·청년 및 지역주민을 위한 가을맞이 축제 ‘환상의 나라 '광광(光光)랜드'’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축제는 체험부스 및 전시(13:00~16:00) 문화예술공연(16:00~17:00)으로 구성되며, 온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특히 총 1

‘2025 나주영산강축제’, 전통과 현대의 어울림 3일차 현장

[뉴스스텝] ‘2025 나주영산강축제’ 개막 3일 차에 접어든 가운데 전통과 현대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무대들로 행사를 성황리에 이어가며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가을 축제의 진면목을 선보였다.10일 나주시(시장 윤병태)에 따르면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축제장에는 입소문을 타고 찾아온 방문객들로 붐볐고 다양한 문화공연과 케이팝 콘서트 등 세대를 아우르는 프로그램으로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축제 열기를 이어갔다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