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건축물 총 7,354,340동… 연면적 41억 3천만㎡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3-02 17:55:30
  • -
  • +
  • 인쇄
전년 대비 인허가 3.6% 증가, 착공 18.7% 감소, 준공 11.2% 감소
▲ 용도별 건축물 현황 및 인허가 추이 현황

[뉴스스텝] 국토교통부는 ’22년도 전국 건축물의 동수는 작년보다 40,076동(전년 대비 0.5%)이 증가한 7,354,340동이며, 연면적은 작년보다 75,097천㎡*(전년 대비 1.9%)이 증가한 4,131,340천㎡라고 발표했다.

[ '22년 전국 건축물 현황]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16,089동(41,686천㎡) 증가한 2,051,614동(1,877,761천㎡), 지방은 23,987동(33,410천㎡) 증가한 5,302,726동(2,253,578천㎡)이다.

용도별 면적을 살펴보면, 주거용(46.3%, 1,913,003천㎡), 상업용(22.1%, 915,040천㎡) 건축물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전년 대비 증가율은 공업용(2.9%, 12,575천㎡), 상업용(2.3%, 20,364천㎡)이 높게 나타났다.

’22년 전국 건축 인허가현황을 집계한 결과, 전년 대비 허가 면적은 3.6% 증가했고 착공은 ∆18.7%, 준공은 ∆11.2% 감소했다.

1.건축물 현황 변화 추이

최근 10년간 건축물 동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0.8%, 연면적의 연평균 증가율은 2.3%로, 연면적의 증가율이 더 큰 것으로 보아 규모가 큰 건축물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국의 건축물 동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년대비 증감률은 수도권 0.8%, 지방 0.5%로 수도권은 전년대비 증가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국의 건축물 연면적도 증가 추세이나, 증가폭(수도권 2.3%, 지방 1.5%)은 전년 대비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2.용도별 건축물 현황

1) 주거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세부 용도별 면적은 아파트가 1,218,488천㎡(63.7%)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332,079천㎡(17.4%), 다가구주택 171,640천㎡(9.0%), 다세대주택 132,226천㎡(6.9%), 연립주택 44,017천㎡(2.3%) 순이다.

최근 5년간 동수, 연면적의 연평균 증가율은 각 –0.3%, 1.9%로, 이는 1개 동의 규모가 작은 단독주택은 감소(-0.5%, -0.2%)하고, 규모가 큰 아파트의 증가율(2.3%, 2.8%)이 높기 때문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아파트가 610,621천㎡(67.9%)로 가장 크고, 다세대주택 100,542천㎡(11.2%), 단독주택 82,546천㎡(9.2%), 다가구주택 75,212천㎡(8.4%), 연립주택 23,784천㎡(2.6%) 순이며,지방은 아파트가 607,866천㎡(59.9%)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249,532천㎡(24.6%), 다가구주택 96,428천㎡(9.5%), 다세대주택 31,683천㎡(3.1%), 연립주택 20,233천㎡(2.0%) 순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 현황을 살펴보면 단독주택은 전남(43.7%), 제주(35.6%), 경북(34.5%)이 다가구주택은 대전(15.7%), 대구(13.7%), 제주(12.2%) 순으로 높으며, 아파트는 세종(84.8%), 광주(75.7%), 부산(73.5%), 연립주택은 제주(12.0%), 서울(3.3%), 강원(2.5%), 다세대주택은 서울(15.0%), 인천(12.0%), 제주(10.5%) 순이다.

2) 상업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세부 용도별 면적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289,355천㎡(31.6%)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242,301천㎡(26.5%), 업무시설 174,086천㎡(19.0%), 판매시설 66,097천㎡(7.2%), 숙박시설 54,256천㎡(5.9%) 순이다.

상업용 건축물 연면적의 최근 5년간 연평균 상승률은 2.9%로 주거용(1.9%)보다 크며, 전년대비 증감률은 업무시설(3.7%)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33,024천㎡(29.0%)로 가장 크고, 업무시설 118,938천㎡(25.9%), 제1종근린생활시설 106,394천㎡(23.2%), 판매시설 39,487천㎡(8.6%), 숙박시설 16,220천㎡(3.5%) 순이며,지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56,330천㎡(34.3%)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135,906천㎡(29.8%), 업무시설 55,147천㎡(12.1%), 숙박시설 38,035천㎡(8.3%), 판매시설 26,609천㎡(5.8%) 순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 현황을 살펴보면 제1종근린생활시설은 전북(36.3%), 경북(34.9%), 충북(34.7%)이, 제2종근린생활시설은 경북(40.5%), 충북(38.4%), 전북(37.4%)이 높으며,판매시설은 서울(10.0%), 대전(9.6%), 부산(8.2%)이, 업무시설은 서울(34.5%), 인천(23.4%), 부산(20.0%)가 높다.

3.건축물 말소 현황 등

1) 건축물 말소 및 경과년수별 현황

말소된 건축물은 주거용이 44,112동(전체 주거용 건축물 중 1.0%)으로 가장 많고, 상업용(11,306동, 0.8%), 공업용(1,546동, 0.5%), 교육 및 사회용(744동, 0.4%) 순으로 나타났다.

주거용 건물에서 경과년수 30년 이상 건축물의 동수 비율은 50.5%이며, 상업용에서는 31.0%, 교육 및 사회용은 22.9%로 나타났다.

2) 규모·소유주체별 현황

층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1층 건축물 4,475천동(60.9%), 2~4층 건축물 2,446천동(33.3%), 5층 건축물 183천동(2.5%)이다.

면적별 건축물의 1백㎡ 미만 건축물은 3,228천동(43.9%), 1백~2백㎡ 미만 건축물 1,648천동(22.4%), 3백~5백㎡ 미만 건축물 805천동(11.0%)이다.

소유주체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개인 소유 건축물 5,707천동(77.6%), 법인 소유 건축물 561천동(7.6%), 국·공유 소유 건축물 231천동(3.1%)이다.

3) 인구·토지면적당 건축물 현황

전국 건축물의 1인당 면적은 전년 대비 1.77㎡ 증가(78.55㎡→80.32㎡)했으며, 수도권은 1.70㎡ 증가(70.56㎡→72.26㎡)하고, 지방은 1.87㎡ 증가(86.67㎡→88.54㎡)했다.

지역별 1인당 건축물의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주거용은 충북(41.92㎡), 강원(41.48㎡), 경북(41.30㎡)이, 상업용은 제주(28.97㎡), 강원(21.28㎡), 서울(19.58㎡) 순으로 넓다.

전국 토지면적 대비 총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전년 대비 0.07%p 증가한 4.11%(4,056백만㎡→4,131백만㎡)이며, 수도권은 0.35%p 증가한 15.82%, 지방은 0.04%p 증가한 2.54%로 확인됐다.

시도별 토지면적 대비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서울이 97.2%로 가장 크며, 다음은 부산(32.4%), 광주(21.5%), 대전(21.3%) 순이다.

['22년 전국 건축 인허가]

1.건축 인허가 현황

전년 대비 허가 면적은 3.6% 증가했고 착공은 ∆18.7%, 준공은 ∆11.2% 감소했다.

허가 면적은 전년 대비 3.6% 증가한 178,689천㎡, 동수는 15.1% 감소한 196,477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75,899천㎡(△9,986천㎡, 11.6%↓), 지방 102,789천㎡(16,239천㎡, 18.8%)이다.

착공 면적은 전년 대비 18.7% 감소한 110,237천㎡, 동수는 18.5% 감소한 151,340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52,150천㎡(△14,797천㎡, 22.1%↓), 지방 58,086천㎡(△10,633천㎡, 15.5%↓)이다.

준공 면적은 전년 대비 11.2% 감소한 112,872천㎡, 동수는 12.3% 감소한 150,668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57,203천㎡(△6,445천㎡, 10.1%↓), 지방 55,669천㎡(△7,762천㎡, 12.2%↓)이다.

2.용도별 건축 인허가 현황

1) 주거용 건축물 현황

전년 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건축 허가(9.2%) 면적은 증가했고 착공(△26.6%) 및 준공(△15.7%) 면적은 감소했다.

세부 용도별 허가 면적은 아파트(19.3%)는 증가했고, 단독주택(△15.0%), 다가구주택(△29.4%), 연립주택(△33.1%), 다세대주택(△25.3%)은 감소했다.

2) 상업용 건축물 현황

전년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건축 허가(△4.4%), 착공(△17.2%), 준공(△13.7%) 면적은 모두 감소했다.

용도별 건축 허가 면적은 업무시설(14.0%)은 증가했고, 제1종근린생활시설(△14.1%), 제2종근린생활시설(△8.2%), 판매시설(△31.2%)은 감소했다.

3.고층건물 건축 허가 현황

30층 이상 고층 건축물의 건축 허가 면적은 전년 대비 증가(40.4%)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허가 면적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33.0% 감소하고, 지방은 98.5% 증가 했다.

4. 아파트 건축 인허가 현황

전년 대비 아파트의 허가(19.3%) 면적은 증가 했고 착공(△27.5%) 면적은 감소했다.

지역별 허가 면적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19.9% 감소하고, 지방은 49.7% 증가 했다.

5.규모·소유주체별 변동 현황

1) 규모별 건축 허가/착공/준공

규모별 건축 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88,110동(44.8%), 100∼500㎡ 건축물이 76,536동(39.0%), 500㎡ 이상 건축물이 31,831동(16.2%)이고,착공은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70,112동(46.3%), 100∼500㎡ 건축물이 57,673동(38.1%), 500㎡ 이상 건축물이 23,555동(15.6%)이며, 준공은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63,461동(42.1%), 100∼500㎡ 건축물이 60,467동(40.1%), 500㎡ 이상 건축물이 26,740동(17.7%)이다.

2) 소유주체별 건축 허가/착공/준공

소유 주체별 건축 허가 면적은 법인 119,707천㎡(67.0%), 개인 27,700천㎡(15.5%), 공공 8,602천㎡(4.8%), 기타 22,679천㎡(12.7%)이고, 착공 면적은 법인 76,433천㎡(69.3%), 개인 21,081천㎡(19.1%), 공공 7,550천㎡(6.8%), 기타 5,172천㎡(4.7%)이며,준공 면적은 법인 56,093천㎡(49.7%), 개인 24,379천㎡(21.6%), 공공 3,332천㎡(3.0%), 기타 29,067천㎡(25.8%)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수원특례시의회 윤경선 의원, 시민이 참여하는 눈 치우기, 봉사활동으로 제도화해야

[뉴스스텝] 수원특례시의회 윤경선 의원(진보당, 평·금곡·호매실)은 지난 26일 열린 기획경제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시민 참여형 제설 활동을 봉사시간으로 인정하고, ‘시민 눈 치우기 운동’으로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윤 의원은 “폭설 시 행정력만으로 모든 지역의 눈을 즉시 치우기는 어렵다”며, 행정력을 보완할 수 있는 시민 참여형 제설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설 활동을 봉사활

강원자치도의회 교육위원회, 2026년도 강원자치도교육청 본예산 예비 심사

[뉴스스텝] 강원특별자치도의회 교육위원회는 26일 제7차 교육위원회를 개의하고,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이 제출한 2026년도 본예산안(총 3조 9,971억 원)에 대한 예비심사를 최종 마무리했다. 교육위원회는 11월 24일부터 26일까지 도교육청이 제출한 예산안에 대한 집행계획과 사업 추진의 타당성 등을 집중 점검했고 전체 본예산 규모의 약 2%에 해당하는 798억원을 감액하여 내부유보금으로 조정했다. 특

구미교육지원청 2026학년도 중학교 입학 배정 투명하고 공정한 출발’준비 완료

[뉴스스텝] 경상북도구미교육지원청은 26일 구미교육지원청 1층 다목적강당에서 구미 관내 초등학교 교원 65명을 대상으로 ‘2026학년도 중학교 입학업무담당자 전달 연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경상북도교육청 및 구미교육지원청의 2026학년도 중학교 입학업무 추진 계획과 관리 지침을 일선 학교에 정확하게 공유하고, 신입생 배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행정 오류를 최소화하여 투명성과 공정성을 극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