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어 아너' 손현주-김명민-김도훈-허남준-정은채, 올여름 최고의 서스펜스 수작을 탄생시킨 힘! 열정+웃음 가득 촬영 비하인드 공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9-01 18:06:17
  • -
  • +
  • 인쇄
▲ 사진 제공: 스튜디오지니

[뉴스스텝] 묵직한 열연 뒤 숨은 뜨거운 열정과 유쾌한 웃음이 가득한 '유어 아너'의 촬영 현장이 공개됐다.

연이은 시청률 상승으로 대세 가도를 달리고 있는 지니TV 오리지널 드라마 ‘유어 아너’(크리에이터 표민수, 극본 김재환, 연출 유종선, 기획 KT스튜디오지니, 제작 ㈜테이크원스튜디오 ㈜몬스터컴퍼니)를 보다 더 촘촘하고 다채롭게 완성하고 있는 배우들의 카메라 밖 새로운 케미스트리가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먼저 치열한 부성애 배틀로 매회 보는 이들의 심박수를 높이고 있는 진퇴양난의 두 아버지를 맡은 손현주(송판호 역)와 김명민(김강헌 역)의 모습이 눈에 띈다.

믿고 보는 연기 대가의 조합인 만큼 안방의 공기마저 팽팽하게 만드는 두 사람의 역대급 열연 뒤 숨은 노력이 엿보이고 있는 것.

대본부터 모니터링까지 어느 하나도 놓치지 않고 꼼꼼하게 체크하는 모습에서 가득한 열의가 뿜어져 나와 이들이 탄생시킨 '유어 아너' 속 수많은 명장면들을 떠오르게 하고 있다.

여기에 진지한 표정으로 유종선 감독과 대화를 나누며 현장에 몰입하고 있는 정은채(강소영 역)의 모습까지 배우들의 남다른 연기 열정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반면 숨 막히는 전개 뒤 감춰졌던 배우들의 유쾌한 순간들도 시선을 집중시킨다. 비극적 뺑소니 사고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도훈(송호영 역)과 신예찬(김상현 역)의 장난기 넘치는 환한 미소가 의외의 케미스트리를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등장만으로도 살벌한 텐션을 유발하는 부두파 패밀리의 귀염 뽀짝(?)한 셀카 타임부터 서로에게 적개심을 드러내는 의붓아들 허남준(김상혁 역)과 새엄마 정애연(마지영 역)의 다정한 순간들까지 상상치도 못한 과몰입 방지 모멘트가 더해져 또 다른 재미를 선사한다.

이처럼 '유어 아너'는 보기만 해도 다채로운 에너지가 물씬 풍겨져 나오는 배우들의 시너지로 올여름 최고의 서스펜스 수작을 탄생시켰다.

이에 매회 자체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 예측할 수 없는 반전에 반전의 서사로 두 아버지의 부성애 배틀도 점차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이를 더욱 쫄깃하게 그려낼 배우들의 활약도 더욱 기대된다.

한편, 드라마 ‘유어 아너’는 내일(2일) 밤 10시 지니 TV, 지니 TV 모바일, ENA에서 7회가 방송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