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로 본 경남의 태풍피해 다발지역 분석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02 18:05:19
  • -
  • +
  • 인쇄
최근 6년간(’18년~’23년) 경남 지역에 영향을 미친 태풍 분석
▲ 빅데이터로 본 경남의 태풍피해 다발지역 분석

[뉴스스텝] 경상남도 소방본부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태풍 피해 다발지역을 사전 파악하고, 효과적인 소방력 배치를 통해 도민의 안전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근 6년간 경남 지역(창원 제외) 태풍 피해지역을 분석한 결과, 구조출동은 총 676건이며,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 장소는 도로 209건(30.9%)과 단독주택 161건(23.8%)이었다.

특히 도로에서 발생한 구조출동 209건 중 일반도로에서의 구조출동이 178건(85.3%)으로 고속도로(5건, 2.4%)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는 일반도로가 태풍으로 인한 피해에 더욱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반도로에서의 구조출동은 주로 간판, 나무, 토사 등 낙하물 사고로 인한 것이 102건(57.3%)으로 가장 많았다.

피해지역을 500m 격자 형태로 분석한 결과, 2회 이상 반복적으로 피해가 발생한 격자는 총 113개이며, 이 격자 내에서 전체 구조출동은 335건(49.6%)의 구조출동이 발생했다.

태풍 영향권 진입 16시간 전후로 119신고 건수가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소방 활동 수요는 강수량보다 풍속의 세기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태풍의 이동 경로에 따라 우측 반경에서 1,950건(64.3%), 좌측 반경은 1,084건으로 우측 반경일 때 더 많은 구조출동을 했다.

태풍 강도가 강할수록 구조 활동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적극적인 재난방송과 예방 홍보가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힌남노(2022년)의 경우 마이삭(2020년)·하이선(2020년) 태풍보다 피해는 컸지만, 구조출동은 96.7% 감소했다.

김재병 소방본부장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태풍 내습 시 119 폭주 예상 시간 및 최대 신고 건수 예측 결과를 참고하여 상황실 근무 인원을 보강, 태풍 이동 예상 경로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특수구조대를 전진 배치하는 등 선제 대응 태세 확립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남소방본부는 시군, 유관기관에도 분석 결과를 공유하여 예방 대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안전행동요령 카드뉴스 등을 제공하여 도민의 안전 체감도를 높일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태백시,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실시

[뉴스스텝] 태백시는 올겨울 인플루엔자 유행에 대비해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어린이·임신부·65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오는 9월 22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예방접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태백시는 의료취약지역 특성을 고려해, 전국과 달리 65세 이상(196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전체를 대상으로 연령 구간 구분 없이 10월 15일부터 무료 접종을 실시한다. 생후 6개월~13세 어린이 중

영암살이, 한 달간 살아보고 결정하세요

[뉴스스텝] 영암군이 이달 26일까지 두 지역 살아보기 체류형 정착 유도 프로그램 ‘영암살래? 영암살래!’ 참가자를 모집한다. 군서면 모정마을에 마련된 5세대 규모 단독주택에서 1달 동안 머물며 귀농귀촌을 실습하면서 영암에 정착하는 방법을 모색해 보는 프로그램이다. 영암군은 참가자들이 농촌 마을 속에서 이웃과 소통하며 지역 문화까지 경험할 수 있도록 체험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프로그램에는 영암군 이외 지역

단양군 새내기 공무원, 선배에게 실무 직접 배워

[뉴스스텝] 충북 단양군은 지난 17일, 임용 1년 이내 새내기 공무원 34명을 대상으로 ‘2025년 단양 새내기의 슬기로운 공직생활 입문 워크숍’을 개최했다.이번 워크숍은 새내기 공무원들이 빠르게 조직에 적응하고 실무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마련됐다. 민원, 감사, 회계, 공문서 작성, 개인정보 보호 등 주요 업무 분야의 팀장이 직접 강의를 맡아 현장에서 겪는 생생한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해 실효성을 높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