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울본부, 제2회 상고문화제 가을(秋)편 성료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7 18:45:41
  • -
  • +
  • 인쇄
글짓기·보드게임 대회·할로윈 이벤트 등 온 가족이 함께 즐기는 문화축제
▲ 한울본부, 제2회 상고문화제 가을(秋)편 성료

[뉴스스텝] 한국수력원자력(주) 한울원자력본부에서 10월 25일 개최한 ‘제2회 한울 상고문화제’에 1,000여 명의 지역주민이 참여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항상 상(常), 생각할 고(考)’라는 뜻으로 아이들이 스스로 사고하고 표현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기획된 상고문화제는 지난 5월의 봄(春) 편에 이어 이번에 2회차를 맞았다.

본 행사의 주요 프로그램인 글짓기 대회에는 ‘아이들이 생각하는 울진의 미래’를 주제로 초등학생 100여 명이 참여했으며, 향후 심사를 거쳐 16개 작품을 시상하고 참가작 모음집을 제작해 배부할 예정이다.

또한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참여할 수 있는 보드게임 대회에서 루미큐브·젠가 대결이 펼쳐졌고 민속놀이 체험 5종과 버스킹, 샌드아트와 풍선아트, 푸드트럭 등 다양한 즐길거리와 먹거리가 마련되어 행사의 풍성함을 더했다.

이에 더해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옐로카드’ 기부 캠페인에 300여 명의 방문객이 참여하여 한울본부 마스코트 ‘한우리’가 그려진 안전 키링을 직접 만들며 교통안전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기부 문화를 실천했다.

한울에너지팜 야외 공원에서는 미라, 마녀 등 캐릭터 분장을 한 배우들의 마임 연기와 포토 이벤트, 포토 존 등 다채로운 ESG 할로윈 이벤트가 눈길을 끌었다. 코스튬을 입은 아이들은 호박 등불과 가면 등을 직접 만들고, 다양한 미션 콘텐츠를 체험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행사장을 찾은 방문객은 “주말에 먼 도시로 가지 않고도 가족과 함께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어 만족스러웠고, 울진에서 상상도 하지 못했던 할로윈 체험을 하게 되어 아이들과 부모들까지 정말 즐거워했다. 내년에도 꼭 참여할 수 있었으면 한다.”라는 소감을 밝혔다.

행사에 참여한 어린이는 “아껴뒀던 공주 옷을 입고 왔는데 예쁜 마녀와 사진도 찍고 해골이 태워주는 목마도 타서 정말 신기하고 재미있었다. 다음에 또 오고 싶다.”라고 전했으며,

이세용 본부장은 “자라나는 생각과 표현을 마음껏 발산할 수 있는 글짓기 대회가 성료되어 기쁘고, 예상보다 많은 아이들이 축제에 참여해 늦은 저녁까지 몰입해 즐기는 모습을 보니 흐뭇했다.”라며 “지역주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내년에도 알찬 프로그램을 마련할 것이고, 울진의 아이들이 접하기 어려운 문화 콘텐츠를 적극 발굴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해남밥상관’‘미남푸드관’‘주전부리관’에서 해남8미 맛보세요

[뉴스스텝] 해남군이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2일 열리는‘2025 해남 미남축제’에서 해남의 농수산물로 차려진 한상차림‘해남밥상’을 선보인다. 해남밥상은 올해 새롭게 선정된 해남대표음식‘해남8미’의 하나로, 기존 해남 한정식의 범위를 넓혀 해남의 제철 농수특산물과 전통의 식문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백반정식(定食)의 브랜드명이다. 해남군은 올해 미남축제에서 해남밥상관을 운영, 축제 참가자들에게 해남밥

김해시, 하반기 공용차량 교통안전교육 실시

[뉴스스텝] 김해시는 지난 27일 시청 제2청사 중회의실에서 공용차량 지킴이와 운전자 70여 명을 대상으로‘2025년 하반기 김해시 공용차량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최근 공용차량 관련 교통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운전자들의 안전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교통사고를 예방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 올해부터 상반기 교육에 이어 연 2회 정기적으로 추진하고 있다.이날 교육에서는 한국도로교통공단 울산경남

‘장흥 반계사’ 유형문화유산 지정 기념 고유제 봉행

[뉴스스텝] 장흥군 장동면에 위치한 반계사(盤溪祠)가 지난 7월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됨에 따라, 이를 기념하는 고유제가 오는 31일 열린다.반계사는 임진왜란의 공신인 이순신 장군, 정경달, 임영립 선생을 배향하는 사우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64호로 지정됐다.반곡 정경달 선생은 임진왜란 초기에 경북 선산부사로 재임하며 왜군 수백을 섬멸하는 등 육상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이다.이후 충무공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