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우·백우·칡소·제주흑우 “우리도 한우데이~”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11-01 19:45:02
  • -
  • +
  • 인쇄
11월 1일‘한우데이’… 국내 재래 소 특징 ‧ 보존 현황 소개
▲ 한국 재래소 사진

[뉴스스텝] 11월 1일은 한우협회를 비롯한 한우 관련 단체가 2008년 한우 소비 촉진을 위해 ‘한우데이’로 정한 기념일이다.

농촌진흥청은 ‘한우데이’를 맞아 일반적으로 알려진 황색 한우 이외 우리나라 재래 소 4계통의 특징과 보존 현황,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우리나라 소 사육 역사는 김해패총에서 발굴된 우골(쇠뼈), 고구려 벽화 등으로 미루어 볼 때 2,500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본래 한우의 털색(毛色)은 다양했지만, 일제강점기 ‘조선우 심사 표준’에 황색 소를 ‘조선의 소’로 규정하면서 다른 털색을 가진 소 개체수가 급감했다. 현재 남아있는 우리나라 재래 소는 황우를 포함해 ‘흑우’, ‘백우’, ‘칡소’, ‘제주흑우’ 총 5계통이다.

흑우는 털색이 검고, 등에 있는 만선(황색선)과 입 주변 흰색 테두리가 특징이다. 제주흑우와 구분해 ‘내륙흑우’라고도 하며, 국내에 100여 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백우는 황우 가운데 털색과 망막에 색소가 없는 백색증(알비노증)을 갖고 태어난 멸종 위기의 가축 유전자원이다. 국립축산과학원은 2009년 농가에서 백우를 수집한 뒤 유전자원 증식을 통해 현재 30여 마리를 보존・사육하고 있다.

칡소는 황갈색 바탕에 검은색 혹은 갈색의 세로줄 무늬를 지녀 호반우(虎斑牛)로도 불리며, 임금에게 진상됐다고 전해진다. 1990년대 후반 자치단체에서 보존 작업을 시작해 2007년부터는 국가 차원에서 국립축산과학원이 관리하고 있다. 사육 마릿수는 2,300여 마리* 정도다.

제주흑우는 몸집은 작으나 체질이 강건하고 지구력이 좋은 특징이 있다. ‘조선왕조실록’, ‘탐라순력도’ 등 옛 문헌에 제향, 진상품으로 공출된 기록이 있으며, 2013년 천연기념물 제546호로 지정됐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제주흑우 350여 마리와 제주흑우와 한우를 교배한 흑한우 630여 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칡소와 제주흑우 고기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사육 마릿수가 전체 한우의 0.1% 미만으로 적어 생산성 개선을 통한 사육 확대, 고기 특성 구명을 통한 소비 촉진 등 산업화 연구가 필요하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칡소와 제주흑우의 육질과 영양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서울대학교, 산업체와 함께 ‘재래소 유래 축산물의 부가가치 향상 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백우와 흑우는 가축 유전자원 보존 차원에서 관리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박범영 원장은 “재래 소인 흑우, 백우, 칡소, 제주흑우의 유전자원 보존과 연구를 꾸준히 추진하고, 칡소나 제주흑우와 같은 재래 소의 차별화된 육질과 영양적 특성을 과학적으로 밝혀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합천군, 가을철 축제 안전관리 총력 대응

[뉴스스텝] 합천군은 10월 10일 오전 10시 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2025년 제4회 안전관리 실무위원회'를 개최하여 가을철 대표 축제인 제4회 황매산억새축제와 제3회 합천황토한우축제에 대한 안전관리계획을 심의했다.이번 안전관리 실무위원회는 부군수를 위원장으로 축제 관련 부서장과 경찰, 소방, 전기·가스 분야 실무위원이 참석하여 축제 안전관리계획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질의 응답하는 시

광교청소년청년센터, 환상의 나라 '광광(光光)랜드' 행사 개최

[뉴스스텝] 수원시청소년청년재단(이사장 최종진) 광교청소년청년센터는 오는 10월 25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청소년·청년 및 지역주민을 위한 가을맞이 축제 ‘환상의 나라 '광광(光光)랜드'’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축제는 체험부스 및 전시(13:00~16:00) 문화예술공연(16:00~17:00)으로 구성되며, 온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특히 총 1

‘2025 나주영산강축제’, 전통과 현대의 어울림 3일차 현장

[뉴스스텝] ‘2025 나주영산강축제’ 개막 3일 차에 접어든 가운데 전통과 현대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무대들로 행사를 성황리에 이어가며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가을 축제의 진면목을 선보였다.10일 나주시(시장 윤병태)에 따르면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축제장에는 입소문을 타고 찾아온 방문객들로 붐볐고 다양한 문화공연과 케이팝 콘서트 등 세대를 아우르는 프로그램으로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축제 열기를 이어갔다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