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기·습기 많은 장마철, 감전사고에 주의하세요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6-23 16:58:55
  • -
  • +
  • 인쇄
작업장 전기안전 관리, 누전차단기 작동 확인, 젖은 손 전기제품 위험
▲ 물기·습기 많은 장마철, 감전사고에 주의하세요
[뉴스스텝] 행정안전부는 장마와 호우로 물기·습기가 많아지는 여름에는 감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는 만큼 안전 요령을 잘 지켜줄 것을 요청했다.

최근 5년간 감전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총 2,509명이며 이 중 94명이 사망했다.

사고는 장마가 시작되는 6월부터 9월까지 평소보다 높게 발생했으며 강수량이 많은 7월과 8월에 각각 321명, 302명으로 특히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602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30대, 20대 순이었으며 10세 이하에서도 177명 발생했다.

장소별로는 직업과 연관된 공장·작업장이 35.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주거시설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어 작업장 안전관리와 가정 내 감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여름철 감전사고를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안전 요령을 잘 지켜야 한다.

작업장에서 전기를 취급할 때는 절연장갑, 절연신발, 안전모 등을 착용하고 취급 책임자 외에는 전기 기계장치를 조작하거나 전기실 등에 함부로 출입하지 않아야 한다.

주거시설에서는 누전차단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매월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전기 설비를 정비하거나 보수할 때는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한다.

젖은 손으로 전기용품이나 콘센트를 만지는 것은 감전의 위험이 높은 만큼 물기를 제거하고 마른 상태로 사용해야 한다.

특히 물기가 많은 욕실에서 헤어드라이어 등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는 감전사고에 주의해야 하고 플러그를 뽑거나 끼울 때는 전선이 아닌 본체 부분을 잡도록 한다.

어린이 감전사고를 예방하려면 콘센트로 장난치지 않도록 안전 덮개를 씌우고 이동식 콘센트나 전선 등은 아이 눈에 띄지 않도록 정리해 사용한다.

특히 아이가 전선을 가지고 놀거나 콘센트에 금속 놀잇감 등으로 장난치지 않도록 관리하고 감전의 위험성에 대해 알려주도록 한다.

또한, 침수된 도로의 가로등, 신호등, 전기시설 등은 멀리하고 전기를 사용하는 도로 위 입간판의 전선, 금속제 등을 밟거나 만지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입간판 운영자는 비가 오면 입간판을 물기가 없는 안전한 곳으로 옮기고 전선 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잘 관리해야 한다.

구본근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여름철에는 잦은 비와 더운 날씨에 흘린 땀 등으로 감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만큼, 항상 물기를 말린 후 전기제품을 사용하는 습관을 들여 감전에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2025 칠곡군 군정만족도 조사

[뉴스스텝] 칠곡군청은 여론조사 전문기관을 통해 지난 07월 21일부터 08월 4일까지(14일간) 만 18세 이상 칠곡군민 1,207명을 대상으로 군정만족도 및 행정수요조사를 실시했다.이번 조사는 군정운영 전반, 분야별 군정시책, 정주의식, 행정수요 등에 대해 1:1 대면면접으로 진행됐다.그 결과, 주요 군정 8개 분야에 대한 종합 만족도는 74.1점으로 전년(73.0점)대비 +1.1점 상승하여 만족스러운

“미군부대 후문 특화거리, 새롭게 단장… 석전2리 발전의 새로운 출발”

[뉴스스텝] 칠곡군은 9월 30일 오후, 석전2리에서 ‘미군부대 후문 특화거리 준공식’을 열고 마을 발전의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 이번 준공식에는 김재욱 칠곡군수, 이상승 칠곡군의회 의장, 배성도 칠곡군의회 부의장, 권선호 군의원, 구정회 군의원 등 주요 내빈을 비롯해 주민 20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행사는 석전2리 상인회 유경미 회장이 사회를 맡아 내빈 소개, 개회선언, 경과보고, 기념사, 축사

남양주소방서, 3분기 긴급구조통제단 불시가동훈련 실시

[뉴스스텝] 남양주소방서는 지난 9월 30일 평내호평역 인근 아파트 단지에서 2025년 3분기 “긴급구조통제단 불시가동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대형 재난 상황을 가정해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 대응체계를 점검하기 위해 마련했다.훈련은 사전 시나리오 없이 아파트 내 화재 발생을 가정해 진행했으며, 긴급구조지휘대 지원반을 포함한 현장지휘단, 119구조대, 평내119안전센터 대원들이 참여해 각자의 임무를 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