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결과 발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6-30 17:05:55
  • -
  • +
  • 인쇄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의 기회균형선발 비율 14.3%로 전년보다 1.6%p 상승
▲ 교육부
[뉴스스텝]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6월 30일 ‘2022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6월 공시를 통해 학생 선발, 산학 협력, 강사 강의료, 원격강좌 등의 정보를 공시하고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 194개교, 전문대학 133개교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한다.

2022년 일반 및 교육대학 입학생 331,906명 중 기회균형선발로 입학한 신입생의 비중은 14.3%로 2021년 12.7%보다 1.6%p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의 기회균형선발 비율은 19.3%로 사립대학보다 6.5%p 높았고 비수도권대학은 17.0%로 수도권대학보다 6.5%p 높았다.

2022년 일반 및 교육대학 신입생의 출신고 유형별 비중은 일반고 73.9%, 특수목적고 4.3%, 특성화고 6.5%, 자율고 9.7%, 기타 5.6%이다.

국공립대학의 일반고 출신 비율은 77.6%로 사립대학보다 4.9%p 높았고 비수도권대학은 76.5%로 수도권대학보다 6.3%p 높았다.

2022학년도 대입전형에 참여한 입학사정관은 8,911명이며 전임 입학사정관 1,197명 중 정규직 비율은 70.8%로 2021년 68.1%보다 2.7%p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의 전임사정관 중 정규직 비율은 81.4%로 사립대학보다 14.8%p 높았고 비수도권대학은 75.1%로 수도권대학보다 8.5%p 높았다.

2022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 서류평가에 참여한 입학사정관수는 8,299명, 서류평가 건수는 1,408,063건이며 입학사정관 1명당 서류평가 건수는 169.7건으로 2021년 171.6건보다 1.1% 감소했다.

사립대학의 입학사정관 1명당 서류평가 건수는 179.8건으로 국공립대학보다 34.2건 높았고 수도권대학은 231.0건으로 비수도권대학보다 116.4건 높았다.

산학협력 현황 2021년 신규 학생 창업기업 수는 1,722개로 2020년보다 13.9% 증가했다.

2021년 창업강좌 수는 9,001개로 2020년보다 2.9% 증가했고 창업강좌 이수자 수는 304,920명으로 2020년보다 0.5% 증가했다.

2021년 기술이전 실적은 5,813건으로 2020년보다 15.0% 증가했고 기술이전 수입료는 1,086억원으로 2020년보다 24.0% 증가했다.

2021년 기술이전 건당 수입료는 1,869만원으로 2020년보다 7.9% 증가했다.

2022년 계약학과 수는 230개로 2021년보다 1.7% 감소했고 학생 수는 8,032명으로 2021년보다 0.6% 증가했다.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 수는 58개로 2021년보다 9.4% 증가했고 학생 수는 3,018명으로 2021년보다 19.0% 증가했다.

‘재교육형’ 계약학과 수는 172개로 2021년보다 5.0% 감소했고 학생 수는 5,014명으로 2021년보다 8.0% 감소했다.

2021년 주문식 교육과정 수는 333개로 2020년보다 4.9% 감소했고 주문식 교육과정에 참여한 학생 수는 12,444명으로 2020년보다 9.5% 감소했다.

2022년 1학기 강사 강의료 평균은 시간당 67.4천 원으로 2021년보다 0.4천 원 상승했다.

국공립대학의 강사 강의료 평균은 89.4천 원으로 전년보다 1.2천 원 상승했으며 사립대학은 56.4천 원으로 전년과 같았다.

2021년 원격강좌 수는 170,882개로 2020년 대비 49.9% 감소했으며 수강인원은 2021년 771.3만명으로 2020년 대비 36.7%로 감소했다.

2022년 전문대학 전체 입학생 140,363명 중 기회균형선발로 입학한 신입생의 비중은 3.2%로 2021년3.5%보다 0.3%p 감소했다.

국공립대학의 기회균형선발 비율은 3.4%로 사립대학보다 0.2%p 높았고 수도권대학은 3.7%로 비수도권대학보다 0.9%p 높았다.

2022년 전문대학 신입생의 출신고 유형별 비중은 일반고 59.0%, 특수목적고 1.7%, 특성화고 23.0%, 자율고 4.7%, 기타 11.6%이다.

사립대학의 일반고 출신 비율은 59.2%로 국공립대학보다 5.6%p 높았고 수도권대학은 67.6%로 비수도권대학보다 15.3%p 높았다.

2021년 신규 학생 창업기업 수는 262개로 2020년보다 1.5% 감소했다.

2021년 창업강좌 수는 5,178개로 2020년보다 12.1% 감소했고 2021년 이수자 수는 137,148명으로 2020년보다 11.8% 감소했다.

2021년 기술이전 실적은 69건으로 2020년보다 9.2% 감소했으나, 기술이전 수입료는 163백만원으로 2020년보다 0.6% 증가했다.

2022년 계약학과 수는 114개로 2021년보다 14.0% 증가했고 학생 수는 3,193명으로 2021년보다 10.3% 증가했다.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 수는 28개로 2021년보다 64.7% 증가했으나, 학생 수는 522명으로 2021년보다 9.8% 감소했다.

‘재교육형’ 계약학과 수는 86개로 2021년보다 3.6% 증가했고 학생 수는 2,671명으로 2021년보다 15.3% 증가했다.

2021년 주문식 교육과정 수는 677개로 2020년보다 3.4% 감소했고 주문식 교육과정에 참여한 학생 수는 20,742명으로 2020년보다 12.0% 감소했다.

2022년 1학기 강사 강의료 평균은 시간당 32.8천 원으로 2021년보다 0.3천 원 증가했다.

국공립대학 강사 강의료 평균은 51.5천 원으로 전년보다 1.2천 원 높았으며 사립대학은 31.8천 원으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다.

2021년 원격강좌 수는 32,857개로 2020년 대비 64.8% 감소했으며 수강인원은 2021년 148.7만명으로 2020년 대비 57.1%로 대폭 감소했다.

대학별 세부적인 공시자료는 6월 30일 06시, 대학알리미 누리집에 공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울산 동구 새마을회, 청소년 성장 기금 전달

[뉴스스텝] 울산 동구 새마을회는 10월 1일 오후 4시 30분 울산 동구청에서 김종훈 동구청장과 학교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청소년 성장 기금 전달식을 가졌다. 이날 전달된 청소년 성장 기금은 지난 8월 22일 새마을회에서 개최했던 사랑의 호프데이에서 발생한 수익금으로, 관내 학교에 전달되어 미래의 주역인 학생들을 위한 일에 쓰일 예정이다. 울산 동구 새마을회는 동별 이웃돕기 사업, 꽃길 만들기, 가족

남구 청년일자리카페 ‘직무별 잡(JOB)멘토링 취업 교육’운영

[뉴스스텝] 울산 남구 청년일자리카페는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 구직자들에게 채용시장에서 다양한 취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직무별 전문가를 초빙해 ‘직무별 잡(JOB)멘토링 취업 교육’을 운영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남구에서 위탁 운영 중인 신중년-MZ멘토링 사업과 연계해 주요 산업의 직무별 전직 전문가와 함께 지역 청년들의 성공적인 취업 도모를 위해 9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양일간 기획됐다. 경영

주민 체감하는 맞춤형 복지 발굴 ‘더 행복한 남구Best 복지사업 선정’ 추진

[뉴스스텝] 울산 남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복지 수요에 대응하고 남구만의 창의적이고 다양한 맞춤형 복지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더 행복한 남구 Best 복지사업 선정’을 추진한다. 이번 선정은 지역 내 사회복지시설 또는 기관에서 운영 중인 우수 복지사업을 대상으로 하며, 참신성과 독창성, 주민 체감도, 지역 확장성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할 계획이다. 접수는 9월 29일부터 10월 15일까지 진행되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