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스코, 첨단 과학 연구 노하우 담은 모기약·기피제 출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7-20 12:26:27
  • -
  • +
  • 인쇄
세스코 과학연구소의 모기 서식처, 흡혈 습성, 퇴치 노하우 집약
▲ 모기의 서식처부터 흡혈 습성, 퇴치 노하우 등 세스코 과학연구소의 40여년 연구를 담은 마이랩 에어로솔은 해충에 뿌리는 ‘모기 살충제’(왼쪽 및 가운데)와 인체에 뿌리는 ‘모기 기피제’(오른쪽)로 구성돼 있다. [사진제공=세스코]

[뉴스스텝] ‘해충 방제 전문’ 세스코가 모기약과 모기 기피제를 출시했다.

종합환경 위생기업 세스코(대표이사 전찬혁)는 모기의 서식처부터 흡혈 습성, 퇴치 노하우 등 세스코 과학연구소의 40여년 연구를 담은 ‘모기 에어로솔’ 시리즈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세스코 모기 에어로솔은 해충에 뿌리는 모기 살충제와 인체에 뿌리는 모기 기피제 2종으로,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모기를 제압하거나 피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세스코 모기 살충제는 세스코 해충 방제 전문가가 모기 방제 시 사용하는 성분을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게 담아냈다.

화학물질관리법의 유해 화학 물질은 모두 배제하고, 모기와 파리 살충에 특화한 성분으로 강력한 효과를 낸다.

모기는 창틀, 천장, 구석 틈새 등에 앉아 쉬는 습성이 있다.

이때를 겨냥해 살충제를 뿌리면 좋다. 모기가 드나드는 출입문이나 배수관 주변에도 주기적으로 분사한다.

실내 사용 후에는 환기한다.

또 세스코 모기 기피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사용 시 심각한 위험을 나타낼 가능성이 거의 없다(unlikely to present acute hazard)’며 가장 안전한 U등급으로 분류한 IR3535를 주성분으로 만들었다.

이 성분은 냄새 없이 맑은 액체로, 생물이나 환경에 축적되지 않는다.

유럽화학물질청 평가 자료에서 6개월 미만 영아에게도 노출 시험을 완료한 성분이다.

이처럼 사용 연령에 제한이 없어, 영유아·임산부를 말라리아나 지카 바이러스 감염 등 모기 매개 질병에서 보호하는 데 쓸 수 있다.

세스코 모기 기피제는 ▲급성 경구 ▲급성 경피 ▲눈 자극 ▲피부 자극 ▲피부 감작 등 5종의 건강 유해성 시험을 통과했다.

가볍게 흔들어 약 3초간 분사하면 모기는 최대 5시간 동안, 작은소참진드기는 3시간 동안 피할 수 있다.

세스코 모기 에어로솔은 세스코 쇼핑몰을 비롯해 쿠팡, SSG닷컴, 11번가 등 대다수 이커머스 채널과 홈플러, CU 편의점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구매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충남교육청, 2025 상반기 적극행정 우수사례 교육부장관 표창 수상

[뉴스스텝] 충남교육청은 교육부 주관 ‘2025년도 상반기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장려’ 등급에 선정됐으며, 충남교육청 총무과 복정수 민원기록팀장과 청라초등학교(보령) 양윤호 교사가 우수공무원으로 선정되어 교육부장관 표창을 받았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전국 15개 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충남교육청은 ‘전국 최초 충남형 수어통역 시스템 구축’, ‘등하교 통학버스 탑승 실시간 확

공주시, 제29회 노인의 날 기념행사 열어

[뉴스스텝] 공주시는 2일 공주문예회관에서 각 기관·단체장과 노인회 회원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9회 노인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사)대한노인회 공주시지회(지회장 박공규) 주관으로 열렸으며, 노인의 날을 기념해 어르신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공경 의식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이날 기념식에서는 각계각층에서 고르게 선발한 모범 노인과 노인 복지 기여자, 효행자 등 총

대만 타이난 시장, 안양시의회 공식 방문

[뉴스스텝] 안양시의회는 10월 2일, 대만 타이난시 황웨이저 시장 등 관계 공무원 7명이 안양시의회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 박준모 의장과 이동훈 총무경제위원장, 장명희 보사환경위원장이 함께했으며, 방문단은 안양시의회 본회의장 등 주요 시설을 견학한 뒤 환담의 시간을 가졌다. 황웨이저 시장은 의원들과 환담에서 스마트시티로 자리 잡은 안양시에 깊은 관심을 표했다. 또한 타이난시에서 매년 열리는 국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