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발짝 더 다가선 데이터 기반 정밀의료 R&D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7-21 16:58:12
  • -
  • +
  • 인쇄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 7,084명분 연구자원 개방
▲ 한 발짝 더 다가선 데이터 기반 정밀의료 R&D
[뉴스스텝]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에서 확보한 연구자원이 시범사업의 연구지원과제를 수행하는 연구자에게 제공된데 이어 일반 연구자에게도 7월 말 개방된다.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은 총 2.5만명 규모의 연구자원을 수집하는 사업으로서 100만명 규모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본 사업에 앞서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질병관리청이 공동 협력해 추진하고 있다.

그간 시범사업의 연구지원과제를 수행하는 연구자는 시범사업의 기간 동안 희귀질환자의 신규 모집과 선도사업의 연계를 통해 수집된 임상정보와 전장유전체데이터를 제공받아 연구를 진행해왔다.

이번에 일반 연구자에게 제공되는 연구자원도 시범사업 기간 중 신규로 모집한 희귀질환자의 임상정보, 전장유전체분석정보, 그리고 인체유래물이다.

아울러 대장암, 자폐 스펙트럼 장애,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의 임상정보와 전장유전체분석정보도 일반 연구자에게 제공된다.

이번 시범사업의 연구자원을 제공받고자 하는 일반 연구자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을 통해 연구자원 제공 신청을 해야 하며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분양위원회 심의를 거쳐 연구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공개 대상 연구자원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분양위원회의 심의가 완료된 과제에 대해 일반 연구자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제공하는 분석환경 서비스를 신청해 원격 접속을 통해 보안 환경 내부에서 연구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2022년 12월까지 진행될 시범사업에서 확보되는 총 2.5만명분의 연구자원은 신속히 개방될 예정이며 2023년 상반기에 전면 개방이 이뤄지면 100만명 규모로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본 사업의 추진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질병관리청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이번에 시범사업의 연구자원이 개방되면서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에서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유전체·임상정보 등 빅데이터의 활용이 기대된다”고 밝혔고 “우리나라가 바이오·디지털헬스 글로벌 중심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바이오 빅데이터 기반 정밀의료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범정부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산청군 환경미화원 유정우씨, IAPLC서 국내 1위

[뉴스스텝] 산청군 환경미화원 유정우씨가 일본에서 열린 2025 IAPLC(The International Plants Layout Contest)에서 국내 1위에 이름을 올렸다.2일 산청군에 따르면 전 세계 77개국 1533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에 유정우씨는 ‘Stream(개울, 흐름)’을 출품해 세계 16위를 차지했다.특히 지리산 자락 계곡의 흐름과 유려한 형상의 나무들에 영감을 받아 수조 안을 재현해

산청군자원봉사센터, 우수프로그램 공모사업 추진

[뉴스스텝] 산청군자원봉사센터는 ‘세대를 잇는 따뜻한 기록 전시회’를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2025년 시군 자원봉사센터 우수프로그램 공모사업 일환으로 추진한 이번 전시회에는 고령 자원봉사자들이 오랜 기간 활동한 기록들이 전시됐다.특히 전시를 통해 고령 자원봉사자들의 활동 사례와 성과를 직접 살펴보며 세대 간 자원봉사 경험을 공유해 의미를 더했다.조만선 산청군자원봉사센터장(복지정책과장)은 “앞으로도 자원봉

동두천시, 제45회 시민의 날 기념식 개최

[뉴스스텝] 동두천시는 10월 1일 '제45회 동두천 시민의 날'을 맞아 상패동 시민회관 공연장에서 기념식을 개최했다.기념식은 동두천시립이담농악단과 시립합창단, 동두천시 홍보대사이자 가수 진미령의 식전 공연으로 시작했으며, 김성원 국회의원, 김승호 시의회 의장, 이인규·임상오 도의원을 비롯해 유관기관장·사회단체장·공무원과 시민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박형덕 시장은 지역의 명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