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혼자 산다' 프랑스 청년 파비앙, '축덕'의 희귀 아이템 공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5-27 22:32:59
  • -
  • +
  • 인쇄
파비앙, 10년 동안 갈망한 유니폼 수집에 감격 “90년대 유니폼, ‘이것’ 찾기 하늘의 별따기” 뭐길래
▲ <사진제공> MBC ‘나 혼자 산다’

[뉴스스텝] '나 혼자 산다' 프랑스 청년 파비앙이 '축덕'의 희귀 아이템을 공개한다.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올드 유니폼을 수집 중인 그는 '유니폼뷰' 박재정에 대적할 감동의 라인업을 예고해 기대를 모은다.

오늘 밤 11시 10분에 방송되는 MBC ‘나 혼자 산다’에서는 파비앙의 ‘축덕’ 일상이 공개된다.

7년 만에 ‘나 혼자 산다’에 돌아온 파비앙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향한 남다른 팬심을 표출해 이목이 쏠린다.

축구의 ‘치읓’만 나와도 광대가 승천하는 그는 “대한민국 국대 유니폼을 모으고 있다”며 옷장을 가득 채운 역대 유니폼을 공개해 놀라움을 자아낸다.

파비앙은 유니폼이 들어있는 택배를 신줏단지 모시듯 안고 들어 오는가 하면, 제품에 달려있는 태그 손상을 막고자 지퍼백으로 밀봉하는 등 리얼한 수집가의 모습으로 이목을 집중시킨다.

특히 파비앙은 10년 동안 갈망해왔다는 희귀템을 손에 넣고 감격에 겨운 표정과 경건한 자세를 보여줘 폭소를 유발한다.

그는 유니폼을 손에 넣자 “90년대 발매된 유니폼이다 보니 ‘이것’ 찾기가 하늘의 별 따기다. 그런데 제가 하늘의 별을 땄다”고 자화자찬해 과연 ‘이것’이 무엇일지 궁금증을 유발한다.

파비앙의 수집 스케일은 혀를 내두를 정도라고 한다.

대한민국 축구 국대 역사를 그대로 담은 그의 옷장은 시청자들을 그때 그 시절 월드컵 응원 현장으로 이끌며 추억과 재미를 동시에 선사할 전망이다.

또 파비앙은 “상암 월드컵경기장에서 치른 국대 경기는 거의 다 봤다”며 직관 올 출석을 자랑해 감탄을 자아낸다.

여기에 90년대 경기 결과도 줄줄이 꿰는 방대한 한국 축구 역사 지식까지 자랑했다고 전해져 호기심을 자극한다.

파비앙이 프랑스 국대도 아닌 대한민국 국대에 이토록 빠지게 된 이유는 본 방송에서 공개될 예정이어서 기대감을 더욱 치솟게 한다.

파비앙의 대한민국 축구 국대 사랑은 오늘 밤 11시 10분 방송되는 ‘나 혼자 산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나 혼자 산다'는 1인 가구 스타들의 다채로운 무지개 라이프를 보여주는 싱글 라이프 트렌드 리더 프로그램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구미시지역사회보장 대표협의체 회의 개최…민·관 협력 강화

[뉴스스텝] 구미시는 지난 6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구미시 지역사회보장 대표협의체 회의’를 열고 지역 복지정책의 추진 방향과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대표협의체 위원 25명이 참석해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주요 현안을 심의했다.이번 회의는 △신규 및 재위촉 위원에 대한 위촉장 수여 △2년간 협의체를 이끌어갈 민간위원장 선출 △복지분야 주요성과 및 향후 추진계획 보고 △제5기 지역사회보장계획 2026년 연

광주광역시민·농민 1000여명, 농업인의날 한마당

[뉴스스텝] 광주광역시는 ‘농업인의 날’(11월11일)을 맞아 9일 시청 야외음악당에서 농업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제30회 농업인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농업에서 미래를! 농민에게 희망을!’을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는 광주시가 주최하고 농업인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농업인·시민 1000여 명이 참석해 화합의 장을 이뤘다.행사는 풍물놀이·난타 공연과 농업 유공자 표창 수여, 농업인

울진군 ‘2025 죽변항 수산물축제’ 성황리 폐막

[뉴스스텝] 동해안의 어업전진기지 울진군 죽변항이 수산물과 공동체 그리고 문화가 어우러진 특별한 축제로 환하게 빛났다. 지난 11월 7일부터 3일간 열린‘2025 죽변항 수산물축제’현장에는 약 6만 명의 방문객이 몰려들며 항구 전체가 유례없는 활기로 가득 찼다. 올해 축제는‘가자, 죽변항! 먹자, 수산물!’이라는 슬로건 아래 신선한 제철 수산물이 현장에서 즉석으로 경매로 거래되고, 맨손 활어잡기·물회 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