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군 아리랑박물관 특별기획전 “황장목과 정선뗏꾼”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7-21 10:10:06
  • -
  • +
  • 인쇄
수도 서울의 숨결을 떠받친 나무, 황장목
▲ 정선군청

[뉴스스텝] 정선의 숲에서 자란 나무는 단순한 목재가 아니었습니다. 조선의 궁궐을 떠받치고, 한양의 거리와 백성의 삶을 지탱한 ‘황장목’. 그 소나무는 바위와 눈비를 이겨내며 수백 년을 버틴 끝에, 사람의 손에 깎이고 다듬어져 강물 위에 올랐습니다. 그리고 그 물길을 따라 목숨을 걸고 서울까지 운반한 이들이 있으니, 바로 ‘정선뗏꾼’이었습니다.

(재)정선아리랑문화재단은 2025년 7월 30일 오후 2시, 특별기획전 《황장목과 정선뗏꾼》을 선보입니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역사 회고가 아닙니다. 황장금산(黃腸禁山)이라는 이름으로 엄격히 보호됐던 황장목의 문화사, 그리고 그 나무를 산에서 베어내어 물길 따라 서울까지 실어 나른 뗏꾼들의 땀과 기술, 애환과 공동체의 정신을 조명하는 깊은 기록입니다.

전시는 ‘삶의 동반자 소나무’에서 시작하여 ‘서울을 짓다’는 목적지를 향해 나아갑니다. 척박한 땅에서 꿋꿋이 자란 소나무는 단단하고 썩지 않아 궁궐의 기둥이 됐고, 정선의 뗏꾼들은 그 나무를 골안떼로 엮어 한강 물줄기 따라 마포나루까지 이르렀습니다. 뗏꾼의 손에는 노 대신 강다리와 삿대가 있었고, 가슴에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굳은 다짐이 있었습니다.

황새여울과 된꼬까리, 골안떼가 지나온 거친 여울마다 스며든 삶의 노래, 그리고 그 노래가 아리랑과 만나며 전해진 민초의 감정선까지. 이번 전시는 정선이라는 땅과 물, 사람, 문화가 얽히고설켜 만든 유산을 ‘기억’하고 ‘재해석’하는 장이 될 것입니다.

특히 전시에는 조선왕조실록과 신증동국여지승람, 20세기 초의 신문 기사 등 역사 자료는 물론, 정선 뗏꾼의 생생한 증언과 아우라지 축제의 뗏목 재연 사진까지 함께 소개되어, 정선의 유산이 한 시대의 생활문화이자 국가 기반이었음을 입증합니다.

(재)정선아리랑문화재단은 이번 전시를 통해 사라진 물길 위에 잊혀졌던 사람들의 숨결을 다시 불러내고자 합니다. 《황장목과 정선뗏꾼》은 나무와 인간, 강과 도시를 잇는 유기적 사슬을 되돌아보게 하는 귀중한 시간 여행이 될 것입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조희선 의원, 실효성 없는 정책에 30억… 도민 신뢰 저해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조희선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9월 10일 열린 제386회 임시회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 편성안 심사에서 ‘청년문화예술패스 사업’의 실효성과 예산 적정성에 대해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다.조 의원은 “도민의 문화 접근성 향상이라는 사업 취지는 공감하지만,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유사한 지원을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어, 경기도의 별도 사업이 중복

농식품부 장관, 동물보호단체와 간담회 개최

[뉴스스텝]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9월 10일 오후, 서울 하나증권센터에서 주요 동물보호단체장과 동물복지 강화를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는 오는 10월 4일 법정기념일인 제1회 동물보호의 날을 맞이하여 동물복지 강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공유하고 동물보호단체의 건의 사항을 수렴하기 위해 개최됐다. 간담회에는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 전진경 동물권행동 카라 대표, 김세현 비글구조네트워

고용노동부, 성장과 상생을 위한 일터혁신 노사의 든든한 파트너, 우수 컨설턴트 선정

[뉴스스텝] 고용노동부와 노사발전재단은 일터 혁신의 현장 확산을 위해 「2025년 일터혁신 상생컨설팅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일터혁신’이란 노사 참여를 기반으로 일하는 방식 등을 개선해서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근로 여건을 향상시키는 지속적인 혁신 활동을 말하는데, 정부는 일터혁신을 희망하는 기업에 무료로 전문 컨설팅을 제공하는 사업을 통해 일터의 변화를 촉진하고 상생하는 문화 확산을 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