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 전지훈련의 메카 사천시, 각종 스토브리그 대회 개최로 지역경제 활성화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6 10:15:35
  • -
  • +
  • 인쇄
▲ 동계 전지훈련의 메카 사천시, 각종 스토브리그 대회 개최로 지역경제 활성화

[뉴스스텝] 사천시가 대한민국 우주항공 수도로 거듭나고 있는 가운데 전국 최고의 동계 전지훈련 장소로 각광받으면서 지역 소상공인들이 활력을 되찾고 있다.

16일 시에 따르면 2024년 1월 현재 5개 종목 87개팀(태권도 23, 유도 30, 농구 28, 축구 5, 야구 1) 총 1,101명의 전지훈련을 유치했다.

이들 동계 전지훈련팀들은 2주에서 3주가량 사천시에 머물며 숙박시설, 음식점, 마트 등 지역경제 전반에 큰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사천에서 전지훈련을 하는 팀들이 펼치는 태권도·유도·농구 스토브리그 대회에도 많은 팀과 선수가 참가한다.

태권도 스토브리그는 1월 15일부터 19일까지 5일간 개최되며, 유도와 농구 스토브리그는 1월 29일부터 2월 4일까지 7일간 개최될 예정이다.

사천시가 동계 전지훈련 장소로 각광 받는 가장 큰 이유는 겨울철에 좀처럼 눈이 내리지 않는 온화한 겨울 날씨와 훈련에 최적화된 환경 때문이다.

실제로, 극기훈련의 최적지로 알려진 남일대 해수욕장 백사장, 각산 봉화대, 와룡산과 선수들에게 최고의 스태미나식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싱싱한 활어회를 손쉽게 만나볼 수 있다.

아울러, 환상적인 삼천포대교와 사천바다케이블카의 환상적인 야간경관은 또 다른 매력으로서 다시 찾고 싶은 이미지를 심어주기에 충분하다.

또한, 진주·남해·통영 등과 연계한 전지훈련이 가능하다는 점과 전국의 어느 지역보다 잘 갖춰진 체육시설과 편의시설도 사천시만의 매력 중의 하나이다.

특히, 시에서 전지훈련 참가선수가 불편함이 없이 훈련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 점이 전국의 스포츠팀들의 발길을 이끄는 큰 원동력이 되고 있다.

체육시설 대관료 할인, 사천시 관광 프로그램(시설) 무료제공 및 할인, 훈련팀 현지 방문 격려, 초청간담회, 환영 만찬회 등을 개최하고, 올해부터는 사천사랑상품권으로 숙박비 일부를 지원한다.

시 관계자는 “전국의 많은 스포츠팀들이 동계 전지훈련과 관련한 문의를 하고 있고, 더 많은 팀을 유치하기 위한 체육시설 확충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앞으로도 우리 시가 전지훈련의 메카로 명성을 이어나가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당진시, 심훈 문학 속 음식 이야기 체험 프로그램 성료

[뉴스스텝] 당진시는 광복80주년 및 심훈 상록수 집필 90주년을 맞이해 지난 26일 심훈기념관에서 ‘심훈 문학 속 음식 이야기’를 주제로 한 특별 체험 프로그램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30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은 심훈 선생의 소설 《상록수》 속 음식 담론, 토속 음식 무청 짠지 이야기, 수필 《낙화》의 문구 “연꽃은 떨어지기조차 곱게한다”를 모티브로 한 특별 체험으로, 사전에 사연 공모를 통해 선정된 일반

예산군, 10월 예산사랑상품권 15% 할인판매 실시

[뉴스스텝] 예산군은 지역자금 역외 유출을 방지하고 소비 촉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10월 1일부터 예산사랑상품권 15% 할인판매를 진행한다.할인판매 금액은 총 20억원으로, 지류형 8억원, 모바일형 12억원이며, 1인당 구매한도는 40만원이다.판매는 상품권 소진 시까지 이어지며, 지류형 상품권은 농협은행 군지부를 포함한 43개 판매대행점에서 구매 가능하다.모바일형 상품권(카드·QR)은 ‘지역상품

충청북도교육청 교육도서관, 언제나 책봄 ! 10월 북큐레이션 사서추천도서 선정

[뉴스스텝] 충청북도교육청 직속기관 교육도서관은 '사람답게 살고 있습니까, 휴먼?(인권)'을 주제로 2025년 언제나 책봄 열두달 북큐레이션 10월 사서추천도서 30권을 선정했다.이번 주제는 인권을 키워드로, 책 속 이야기를 통해 차별과 불평등을 돌아보고, 인간다운 삶의 가치와 존엄을 되새길 수 있는 도서로 구성했다.쉽고 따뜻한 이야기 속에서 인권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공감과 존중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