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문화예술회관, 7월 하우스콘서트서 수에뇨 탱고 공연 선보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7-23 12:25:31
  • -
  • +
  • 인쇄
7월 31일(수) 오후 7시 30분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함안문화예술회관, 7월 하우스콘서트서 수에뇨 탱고 공연 선보여

[뉴스스텝] 함안문화예술회관은 7월 문화가 있는 날 하우스콘서트 공연으로 오는 31일 오후 7시 30분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젊은 솔리스트들이 탱고를 위해 결성한 예술단체 ‘수에뇨’의 무대를 선보인다.

수에뇨(반도네온 장종우, 바이올린 김정훈, 더블베이스 박성진, 피아노 김나영)는 독일, 미국, 아르헨티나에서 공부한 다양한 배경의 연주자들이 만나 창단한 단체다.

아르헨티나 탱고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바탕으로 탱고와 클래식을 비롯한 폭넓은 장르를 수에뇨만의 색으로 대중에게 선보이고 있으며 이번 공연에서 낭만과 열정의 탱고 선율을 들려 줄 예정이다.

2023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방방곡곡문화공감 민간단체 우수공연에 선정됐으며 통영국제음악당, 춘천문화예술회관, 대구대덕문화의전당 등에서 활발한 연주활동을 하고 있다.

라디오, TV출연 뿐만 아니라 쌀롱드무지끄, 제비꽃다방 등 소규모 공연장에서 관객들과 거리를 좁혀가며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공연에서는 ‘피아졸라의 망각’, ‘간발의 차이로(영화 ‘여인의 향기’ OST)’등 낭만적이고 열정적인 탱고음악 9곡을 선보이며, 연주뿐만 아니라 탱고와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 작곡가들의 후일담을 소개하며 관객들이 쉽게 탱고의 매력에 다가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7월 하우스콘서트 공연은 8세(초등학생) 이상 관람이 가능하며, 입장료는 전석 5000원, 유료회원 1000원이다.

공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함안문화예술회관 홈페이지를 참조하거나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하우스콘서트는 객석이 아닌 무대 바닥에 앉아 연주자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연주를 보고, 듣고, 악기의 떨림을 온몸으로 직접 느껴볼 수 있는 생생한 음악의 현장으로, 함안문화예술회관에서 2013년 도입 이래 현재까지 관객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있는 시그니처 공연이다.

아울러 문화가 있는 날은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과 그 주간에 문화시설 할인 또는 무료관람, 야간개방 등 다양한 문화 혜택을 제공하는 날로 영화관, 박물관, 미술관, 문화재 등 전국의 2000여 개 문화시설을 할인 또는 무료로 즐길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인천시,‘서구에 말라리아 경보’발령, 강화군 이어 올해 두 번째

[뉴스스텝] 인천광역시는 지난 7월 16일 강화군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9월 12일 서구에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하고 대응에 나섰다고 밝혔다.말라리아 경보는 전국 말라리아 주의보 발령 이후 첫 군집사례가 발생하거나 동일 시군구에서 매개모기 일 평균 개체수가 2주 연속 5.0 이상일 때 내려진다.이번 경보는 전국 말라리아 주의보 발령 이후 서구에서 첫 군집사례가 발생함에 따른 조치이다.군집사례는 말라리아 위

창원특례시, 봉암교 교각 중대 균열 긴급 복구 현장 점검

[뉴스스텝] 장금용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12일 봉암교 교각(P11) 중대 균열 긴급 복구공사 현장을 방문해 현장점검을 실시했다. 봉암교는 창원국가산업단지와 수출자유무역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교량으로 1982년도에 개통됐으며, 하루 6만여 대의 차량이 통행하고 있다. 시는 2년 주기로 정밀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 점검에서 교각(P11) 기둥에서 중대 균열이 발견돼 긴급 복구 공사를 완료했다. 이번

안동시의회 우창하 의원, 경북 특별자치도 전환 필요성 강력 촉구

[뉴스스텝] 안동시의회 우창하 의원(서후·북후·송하)이 12일 열린 제260회 안동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경북의 미래와 생존을 위한 특별자치도 전환 필요성을 강하게 촉구했다.우창하 의원은 발언에서 경상북도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문제를 지적하며, “도내 22개 시·군 중 19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지정됐고, 안동 역시 인구감소지역에 포함됐다”라면서 현행 행정통합 논의만으로는 지역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