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디자인재단, 뇌파와 AI를 결합…새로운 예술 발굴하는 DDP 전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7-23 12:25:13
  • -
  • +
  • 인쇄
뇌파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사운드, 미디어, 키네틱 아트 작품 선보여
▲ '뇌파와 인공지능 예술(AI Fusion)' 전시 포스터

[뉴스스텝] 서울디자인재단은 8월 1일부터 9월 18일까지 DDP 갤러리문에서 '뇌파와 인공지능 예술(AI Fusion)' 전시를 연다. 인공지능이 분석한 인간의 뇌파 데이터를 예술적으로 구현한 전시다.

인공지능(AI)의 급격한 발전은 인간의 삶과 더불어 예술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작가 호두는 이번 전시를 통해 뇌파와 인공지능의 결합이라는 주제로 인간의 감정과 기억을 조명하고 새로운 표현 방식을 탐구한다.

작가는 실시간 뇌파 데이터와 저장된 뇌파 데이터를 수집해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한 후 사운드, 미디어, 키네틱 아트로 작품을 구현했다.

작품 'AI Becomes Human'은 수집된 뇌파 데이터를 자동 음성 생성기와 LED조명을 통해 인간의 감정을 시청각적으로 표현한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기계가 인간의 감성을 담아내는 형상을 보여주고자 한다.

인공적이면서도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곡선형 디자인이 특징인 'Lena Prototype'과 'LenaⅡ' 작품은 관람객이 헤드셋을 착용한 후 실시간 측정한 뇌파 값에 따라 기계가 작동하는 키네틱 아트다. 인간과 기계의 소통을 고찰한다.

'Nerual Symphony'는 수집된 음성과 뇌파 데이터를 Chat GPT와 같은 인공지능을 통해 3D 프렉털 패턴 영상으로 생성한다. 작품 감상평과 같은 대화 형식의 낭송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곳에서 관람객은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새로운 예술세계를 체험하는 신선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작가는 인공지능과 인간의 경계가 점점 모호해지는 현대 사회에서 인간과 기계의 본질을 탐구하고 인간과 인공지능의 융합이 가져올 무한한 가능성을 경험케 한다.

호두 작가는 기술, 뇌과학, 컴퓨터 공학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창작하는 미디어아티스트로, 기술과 예술의 융합이 뚜렷해지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미디어아트와 뇌파를 접목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작가는 뇌파 기반 예술 작품을 통해 새로운 예술적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5년부터 시작된 ‘DDP 오픈큐레이팅’ 은 올해로 33번째를 맞이했다. 신진 전시 기획자와 디자이너를 소개하는 청년 창작자 양성 사업으로 외부의 우수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다양한 분야의 디자이너와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디자인재단은 현재까지 ‘DDP 오픈큐레이팅’ 사업을 통해 약 250여 명의 작가를 발굴하고 소개하며 해마다 응모 시 최고 경쟁률을 보여주고 있다. 관람객 수와 만족도 면에서도 DDP를 대표하는 사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오픈 큐레이팅이 소개하는 신진 디자이너 전시는 관람객과 상호작용하고 MZ세대 감성을 자극한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서울디자인재단 이경돈 대표이사는 “뇌파와 인공지능을 활용해 예술의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가는 이번 전시는 DDP가 추구하는 혁신과 창의성을 대변하는 무대”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인천시,‘서구에 말라리아 경보’발령, 강화군 이어 올해 두 번째

[뉴스스텝] 인천광역시는 지난 7월 16일 강화군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9월 12일 서구에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하고 대응에 나섰다고 밝혔다.말라리아 경보는 전국 말라리아 주의보 발령 이후 첫 군집사례가 발생하거나 동일 시군구에서 매개모기 일 평균 개체수가 2주 연속 5.0 이상일 때 내려진다.이번 경보는 전국 말라리아 주의보 발령 이후 서구에서 첫 군집사례가 발생함에 따른 조치이다.군집사례는 말라리아 위

창원특례시, 봉암교 교각 중대 균열 긴급 복구 현장 점검

[뉴스스텝] 장금용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12일 봉암교 교각(P11) 중대 균열 긴급 복구공사 현장을 방문해 현장점검을 실시했다. 봉암교는 창원국가산업단지와 수출자유무역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교량으로 1982년도에 개통됐으며, 하루 6만여 대의 차량이 통행하고 있다. 시는 2년 주기로 정밀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 점검에서 교각(P11) 기둥에서 중대 균열이 발견돼 긴급 복구 공사를 완료했다. 이번

안동시의회 우창하 의원, 경북 특별자치도 전환 필요성 강력 촉구

[뉴스스텝] 안동시의회 우창하 의원(서후·북후·송하)이 12일 열린 제260회 안동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경북의 미래와 생존을 위한 특별자치도 전환 필요성을 강하게 촉구했다.우창하 의원은 발언에서 경상북도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문제를 지적하며, “도내 22개 시·군 중 19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지정됐고, 안동 역시 인구감소지역에 포함됐다”라면서 현행 행정통합 논의만으로는 지역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