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박물관, ‘대종교와 독립전쟁, 그리고 남북통일’을 주제로 학술포럼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6-08 16:15:13
  • -
  • +
  • 인쇄
남북통일(南北統一)의 사상적 기저로서 대종교(大倧敎)의 홍익인간(弘益人間)과 단군민족주의(檀君民族主義)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발판 마련
▲ 김가진 전 연계 학술포럼 포스터.

[뉴스스텝]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관장 이동국)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합合’을 주제로 한 첫 번째로 ‘김가진- 대한제국에서 대한민국으로’를 개최해 정치와 예술이 일치된 김가진의 삶을 조명하고 있다.

이 전시와 연계하여 ‘대종교(大倧敎)와 독립전쟁, 그리고 남북통일(南北統一)’을 주제로 한 학술포럼이 경기도박물관과 동농문화재단 공동주최로 오는 6월 13일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경기도박물관 뮤지엄아트홀에서 열린다.

이번 포럼은 대종교의 ‘홍익인간’ 사상이 완전한 광복으로서의 남북통일을 실현하는 사상적 기반임을 재조명하는 자리다. 특히 단군민족주의를 표방한 대종교인들이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과 항일무장투쟁의 주역이었음을 돌아보고, 이들의 역할을 다시금 확인하고자 한다.

포럼의 기조 강연은 ▲김영호 동북아평화센터 이사장이 맡아, ‘독립운동사의 재구축을 위한 약간의 문제들’을 주제로 발표한다. 그는 ‘3.1운동론에서 3.1혁명론으로의 이행은 어떻게 가능할까’를 물으면서, 상해임시정부의 ‘3.1혁명’이 이승만 의장의 제헌국회에서 ‘3.1운동’으로 격하된 배경과 그 복원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이 과정에서 신채호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 천도교의 비무장 독립선언, 대종교의 육탄혈전과 국혼운동 등을 언급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주제 발표는 다음과 같다.

▲김동환 국학연구소 연구원 - ‘항일무장투쟁 선상에서의 대종교인’

▲신운용 안중근평화연구원 교수 -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대종교인들 : 임시정부의 사상적·인적 배경을 중심으로’

▲이숙화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임오교변(壬午敎變)과 대종교의 궤멸 : 만주국 통치 권력에 의한 민족운동의 구조적 붕괴’

▲정영훈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 ‘단군, 단군민족주의 그리고 근대 한국 민족운동’

이후 진행되는 종합토론에서는 ▲김성환 전 경기도박물관장이 좌장을 맡아, ‘대종교와 독립전쟁, 그리고 남북통일’을 주제로 토론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동국 경기도박물관장은 “우리가 잊고 있었던 대종교인들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핵심이자 독립전쟁의 선봉이었다. 이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존재한다.”며, “이번 학술포럼이 대종교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고, 그 정신을 계승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중구 대흥동 대한의료기, 저소득 어르신 허리보호대 기탁

[뉴스스텝] 대전 중구 대흥동은 대흥동 소재 대한의료기(대표 최재량)에서 저소득 어르신들을 위해 허리보호대 52개(180만원 상당)를 기탁했다고 밝혔다. 대흥동에서 바르게살기위원회 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는 최재량 대표는“젊은 시절 자녀를 위해 고생하시다가 허리 통증으로 고생하시는 어르신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기탁하게 됐다”며, “소소한 나눔이지만 어르신들이 건강하게 지내시길 바란다”고 소감을

의정부시, 국제규격 축구장 조성…대회 유치 기반·쾌적한 체육환경 마련

[뉴스스텝] 의정부시는 9월 6일 의정부종합운동장 옆 녹양동 산89-15번지 일원에서 ‘녹양보조축구장’ 준공식을 열었다.이번 축구장 조성은 국제규격에 준하는 시설을 갖춰 각종 축구 대회 유치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축구 동호인들에게 쾌적한 체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했다.준공식에는 김동근 시장을 비롯해 국회의원과 도·시의원, 의정부시축구협회 관계자, 지역 주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고성군 적조 일제 방제의 날, 추진으로 적조 방제 총력 대응

[뉴스스텝] 고성군은 9월 5일, 하이면 덕명리 해역일대에 대하여 적조 주의보 발령에 따른 양식생물 피해 최소화를 위해 민·관 합동 적조 일제 방제의 날을 운영하여 일시 집중 방제활동을 실시했다. 2025. 8. 25. 경남도내 해역의 갑작스러운 적조 발생 이후 고밀도의 적조가 현재까지 장기간 지속되며 양식어류 피해가 발생되고 있으며, 고성군은 2025. 8. 29. 고성읍~하이면 해역 적조주의보가 발령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