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상권활성화재단, 가로환경개선사업 완료 구간 공동이벤트 성황리에 종료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9-01 16:25:30
  • -
  • +
  • 인쇄
▲ 가로환경개선사업 완료 구간 공동이벤트 성황리에 종료

[뉴스스텝] 의정부시상권활성화재단은 8월 29일부터 8월 30일 이틀간에 거쳐 가로환경개선사업이 완료된 의정부시장-제일시장 아케이드 구간에서 가로환경개선사업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준 소상공인 70여개소를 대상으로 공동이벤트를 개최했다.

재단은 의정부시장-제일시장 아케이드 4구간이 완료됨에 따라, 2023년의정부 전통시장 가로환경개선 사업을 완료했다. 이를 통해 진열선 정비 및 소방도로 확보 등 시민들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거리를 조성하여 이를 홍보 및 사업대상 구역에 대한 소비촉진을 위해“안태나(안전한 태평로89번길 나이스) 공동이벤트(2차)”를 계획했다.

“안태나 공동이벤트(2차)”는 가로환경개선사업 구간이었던 의정부시장-제일시장 아케이드 구간의 상점에서 1만원 이상 이용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꽝 없는 스크레치 복권 이벤트를 진행하여 경품을 증정하는 이벤트로, 이벤트 기간 동안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홍보, 포스터 부착 등 사전 홍보 및 다양한 경품을 통해 공동이벤트에 대한 흥미를 유발했다. 그 결과 공동이벤트는 이벤트 기간 내내 많은 시민이 참여하여 2시간만에 조기 종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더불어 공동이벤트에 참여한 시민들을 대상으로 △가로환경개선사업 정비 구간 △이벤트 기간 △이벤트 경품 △재방문 의사 부문에 대해 만족도 조사를 한 결과, 네 가지 부문 모두 96.5퍼센트(233명 중 225명) 이상의 매우 만족한다는 결과를 보였다.

의정부시장-제일시장 아케이드 구간에서 자영업을 하는 A씨는 “안태나 공동이벤트를 통해 코로나19 이후로 오랜만에 많은 사람이 북적이는 시장을 봐서 나뿐만 아니라 여기에서 자영업을 하는 모든 상인이 행복했다. 앞으로 이러한 이벤트를 자주 개최하여 전통시장에 많은 사람이 방문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의정부시상권활성화재단 김광회 대표이사는“2023년 가로환경개선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사업대상구역에서 진행된 공동이벤트를 통해 안전하고 깨끗한 거리를 홍보하고, 대상구역에 대해서는 소비를 촉진하여 침체된 상권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시민과 상인이 상생하는 희망가득 상권을 구현해 나가겠다.”고 언급했으며, “이번 공동이벤트를 계기로 전통시장을 명소화하여 걷고 싶고 다시 찾고 싶은 전통시장의 거리가 되도록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서귀포시 예래동, ‘행복솔솔 장터나눔 냉장고’ 이용자 만족도 상승

[뉴스스텝] 서귀포시 예래동은 취약계층 먹거리 나눔 사업인 ‘행복 솔솔 예래동 장터나눔 냉장고’ 사업을 추진하며 지역 내 나눔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올해 2월 개소 한 예래동장터나눔 냉장고는 지역주민, 기업·단체에서 후원하는 식료품, 밑반찬 등을 상시 비치해 관내 취약계층 및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들에게 지원 해오고 있다.현재까지 장터나눔 냉장고 기부 건수는 9월 말 기준 총 140건·1,100만 원 상

고용노동부,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 개최

[뉴스스텝] 고용노동부는 20일 오후 산업안전보건본부에서 안전보건감독국장 주재로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떨어짐, 부딪힘, 끼임 등의 재래형 중대재해가 지속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감축하기 위해 그간의 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독려하기 위하여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는 48개 지방노동관서의 산재예방지도과장, 건설산재지도과장, 광역중대재해수사과장 등 산업안전 관

한정수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현실을 반영한 자체 통계 발굴 필요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한정수 의원(익산 4)은 20일 열린 제422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정확한 통계 없이는 정책도, 행정도 신뢰받을 수 없다”며 “전북자치도의 현실과 특성을 반영한 지역특화 통계 발굴 등 데이터 관리 체계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전북자치도 통계시스템은 도정 주요 지표를 도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정책 수립 및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2007년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