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군 두각을 드러낸 고령군 청년마을 ‘뮤즈타운’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6-20 17:25:37
  • -
  • +
  • 인쇄
▲ 고령군 두각을 드러낸 고령군 청년마을 ‘뮤즈타운’

[뉴스스텝] 지난 6월 14일부터 15일까지 양일간, 서울숲 가족마당에서 행정안전부가 개최한 ‘청년마을 페스티벌’에 고령군 청년마을 ‘뮤즈타운’(Muse Town, 대표 심광섭)이 참가하여 축제 분위기를 한껏 띄우고 이목을 끌었다.

이번 축제는 작년에 이어 2회째로 ‘지역에서의 꿈을 찾아가는 청년들이 잠시 쉬어갈 수 있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아 "청년마을 휴게소"라는 주제로 청년마을 사업성과를 공유하고 수도권 청년들과 시민들에게 알리는 장이 되었다.

고령군 청년마을 ‘뮤즈타운’은 고령에서의 살아보기, 일거리 체험, 이색파티 등을 홍보하고 음악 디제이(DJ) 체험프로그램 등 현장을 방문하는 청년과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뮤지컬 배우 소냐의 축하공연과 가수 하림 등 청년예술가 공연도 지원하여 청년마을 페스티벌의 품격을 드높였다.

청년마을 페스티벌에 참가한 행정안전부 이상민 장관은 청년마을 대표들과 기념촬영 후 고령군 청년마을 홍보부스에도 방문하여 직접 디제잉 체험을 하며 청년마을 뮤즈타운 관계자들을 격려해 주었다.

이 행사에 앞서 청년마을 뮤즈타운은 지난 6월 초 인천 파라다이스시티에서 개최되어 7만 명의 관객이 모였던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코리아 2024’에도 참가하여 심광섭 PD(고령군 청년마을 대표)를 비롯 고령살아보기 참여 청년 13명이 청년대표 공연기획사‘에이브릿지’와 함께 프로덕션 업무 및 일거리 실험 등에 참여함으로써 아시아를 대표하는 음악축제에서 그 존재감을 드러내 ‘뮤즈타운’이 소문나기 시작했다.

한편, 행정안전부의 청년마을 사업은 지역 청년의 유출을 방지하고, 외지 청년의 유입을 통해 지역에 활력을 높이는 사업으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총 39개의 청년마을이 지정되었다.

고령군은 2023년에 청년마을 지원사업에 공모 선정되어 다수의 외지 청년이 지역살아보기(93명), 일거리 실험(3,038명)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그 결과 청년마을 프로그램 참여 후 공익근무지를 고령으로 결정하여 현재 근무 중인 청년도 있고, 고령에서의 보컬 레슨 등으로 정착하거나 장기체류를 통한 이주를 희망하는 청년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올해는 청년마을 지원사업 2년 차를 맞이하여‘뮤즈타운’에서는 음악을 사랑하는 서울의 청년이나 외국인 청년들을 대상으로‘고령살아보기’참여 희망자를 모집하고 있다.

고령군은 청년마을 지원사업을 통해서 지역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 넣고, 외지 청년들의 고령 방문을 통한 생활인구를 확대함으로써 “젊은 고령”으로 변화시켜 나가도록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13회째‘진주시장배 족구대회’성료

[뉴스스텝] ‘제13회 진주시장배 족구대회’가 지난 13일부터 14일까지 진주시 모덕체육공원 족구장에서 개최됐다. 진주시가 주최하고 진주시족구협회가 주관한 이번 대회는 동호인 상호간 단합과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생활체육 발전에 기여하고자 마련됐다.이번 대회에는 330여 명의 족구 동호인들이 참가하여 열띤 경쟁을 벌였다. 진주시 5개 부 및 경상남도 1개 부가 참가하여 조별 예선리그 후 본선 토너먼트 경기로

함평군, 외국인 노동자와 '상생'하는 일터 문화 조성 앞장

[뉴스스텝] 전남 함평군이 지역 산업 현장의 외국인 근로자 권익 보호를 위해 고용주 대상 노동인권 교육을 성공적으로 마쳤다.함평군은 지난 11일 함평엑스포공원 주제영상관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 고용주를 대상으로 노동인권 교육이 진행됐다”고 15일 밝혔다.교육은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조건 보호와 인권 존중을 통한 상생의 고용 문화 확산을 목표로 마련됐으며, 교육에는 관내 계절근로자 및 제조업 등

여수시도시관리공단, 부서별 청렴교육 담당자 내부강사 자격 이수

[뉴스스텝] 여수시도시관리공단은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연수원이 실시한 ‘청렴교육 내부강사 양성과정’에서 부서별 청렴교육 담당자 9명이 전원 수료했다고 15일 밝혔다.이번 과정은 부서별 청렴 담당자를 내부 강사로 양성해 전문성을 높이고, 자체 청렴교육의 효과성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교육 과정에서는 △부패·공익신고 제도 △청탁금지법·이해충돌방지법 △갑질금지 및 행동강령 △청렴사례와 감사실무 등이 다뤄졌다. 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