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비엔날레 25시 – 9월 23일, 10만 넘어선 공예비엔날레, 모든 프로그램마다 화제! 다양한 관람객 이벤트로 보답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9-24 18:31:49
  • -
  • +
  • 인쇄
10만 돌파 ... 국군의 날⦁노인의 날⦁임산부의 날 이벤트로 보답
▲ 청주비엔날레 25시 – 9월 23일, 10만 넘어선 공예비엔날레, 모든 프로그램마다 화제! 다양한 관람객 이벤트로 보답

[뉴스스텝] 23일 오후 4시 기준, 마침내 현장 누적 관람객 10만 명을 돌파하며 종일 북적인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는 모든 프로그램마다 화제였고, 모든 순간이 빛났다.

어느덧 깜짝 공연의 명소가 된 본전시 황란 작가의 작품 앞에서는 오늘도 플루트 연주자 정혜연의 연주가 관람객에게 감미로운 선율을 선사했고, 야외광장에서는 유튜브 댄스 분야 양대산맥 딩가딩가스튜디오와 비바댄스스튜디오가 컬래버한 역대급 랜덤플레이 댄스가 비엔날레를 K-POP의 열기로 후끈 달아오르게 만들었다.

학술 프로그램마저 ‘핫’했다. 3D 프린팅부터 화학과 만난 도자, 퍼포먼스까지 융복합 도자의 세계를 한 자리에서 만나는 국제 워크숍 ‘세라믹 인 액션’에서는 작가들의 강연도 화제였지만, 본전시 참여작가 주오밍순 작품을 활용한 퍼포먼스가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전시장에 놓인 작품을 넘어 사람과 만나 생명을 얻는 사물을 도자로 빚는 작가 주오밍순의 작업세계와 매력을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이었다.

수준 높은 전시는 물론 시간대별 다양한 즐거움으로 관람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는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는, 맞춤형 이벤트로 관람객의 사랑에 보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10월 1일 국군의 날에는 군대에 간 연인, 혹은 자녀를 둔 관람객을 대상으로 공예 클래스를 연다. 마음을 새기는 ‘각인 팔찌 만들기’, 군화 대신 ‘운동화 커스텀’, 관물대마저 향기롭게 만들어줄 ‘석고 방향제 만들기’, 3가지 강좌가 마련된다. 날짜 관계없이 비엔날레 입장권 소지자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비엔날레 공식 홈페이지와 SNS에서 24일까지 선착순으로 마감한다.

10월 2일 노인의 날에는 오전 10시부터 17시까지, 65세 이상 비엔날레 특별우대권(50% 할인)을 소지한 입장객을 대상으로 ‘추억사진관’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 밖에도 10월 9일 한글날, 10월 10일 임산부의 날 등 맞춤형 이벤트로 관람객의 즐거움을 더할 계획이다.

모든 이벤트에 관한 소식은 비엔날레 공식 홈페이지와 SNS 등에서 순차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이 대통령, 제13차 수석·보좌관 회의 주재 문화, 국력의 핵심···문화생태계 종합 대책 필요"

[뉴스스텝] 이재명 대통령은 제13차 수석 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면서 최근 K-컬쳐를 통해 대한민국의 위상이 한층 높아졌다고 말했다.아울러 문화가 국력의 핵심이라며 문화 생태계 전반을 포괄하는 종합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어, K-팝부터 K-드라마, K-푸드, K-뷰티에 이어 K-데모크라시까지 세계가 주목하는 대상이 됐다고 언급하며 문화의 핵심 영역에 민주주의가 포함돼있다고 강조했다.문화강

전남도, 에너지 미래도시 기획전략본부 신설

[뉴스스텝] 전라남도는 13일 긴급 현안회의를 열고 재생에너지와 인공지능(AI)이 결합된 ‘대한민국 최초의 AI 에너지 미래도시’ 조성을 위해 ‘에너지 미래도시 기획전략본부’를 신설한다고 밝혔다.이번 조치는 정부의 ‘지방 중심 국가균형발전’과 ‘재생에너지 대전환 정책’, 세계적 투자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신설된 전략본부는 미래도시 기본계획 수립 RE100 산업단지 조성 글로벌 AI 데이터

‘월 1만원 보금자리’ 전남형 만원주택 순항…고흥서 기공식

[뉴스스텝] 전라남도의 혁신적인 주거복지 정책인 ‘전남형 만원주택’ 사업이 진도에 이어 고흥에서 두 번째 기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건설에 착수하는 등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전남형 만원주택’은 청년과 신혼부부가 보증금 없이 월 1만 원이라는 상징적인 임대료로 최장 10년간 거주할 수 있는 주거복지 정책으로, 인구 유출로 인한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청년층의 안정적인 지역 정착을 돕기 위해 전남도가 중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