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이 사랑하는 K-POP, 그 비밀은 디자인에? 케이팝 디자인 전시 DDP에서 열린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9-21 20:40:04
  • -
  • +
  • 인쇄
꿈과 희망을 주는 케이팝 디자인 드림 랜드를 찾아가는 관객 맞춤형 전시 공간
▲ 전시 포스터

[뉴스스텝] 한류 열풍을 선도하고 있는 케이팝에 디자인, 패션, 일러스트 작품 등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접목한 ‘Design Dream Land: Fall in K-POP’ 전시가 오는 9월 22일부터 DDP 디자인랩 3층에서 열린다.

‘디자인 드림 랜드’ 전시에서는 케이팝이 세계적으로 알려지기까지 발전한 과정과 현재의 케이팝을 디자인적 요소와 함께 흥미롭게 보여준다.

이번 전시는 케이팝의 성장 과정을 소개하는 공간을 시작으로 aespa(에스파), EXO(엑소), NCT(엔시티), 소녀시대 등 케이팝 아티스트들의 의상과 앨범 컨셉 등에서 영감받은 콘텐츠를 전시하는 공간까지 다양하다.

aespa(에스파)의 의상에서 영감을 받은 공간은 “Dreams Come True”의 가사 속 메시지에 초점을 맞추어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가는 환상적인 분위기로 표현했다. 이 공간에는 인스타 팔로워 수 11만 명 이상인 신모래 일러스트레이터가 케이팝에 영감을 받은 작품과 꿈과 환상을 주제로 한 신기루 작가의 작품이 함께한다.

EXO(엑소)의 앨범 “Obsession”의 컨셉에 따라 연출되는 공간에서는 각 멤버들의 이중성과 대립이 강조된다. 이 공간에는 어둠과 빛, 선과 악, 현실과 환상 등 다양한 대립적 요소를 SUN WOO(선우) 패션 브랜드의 의상으로 해석한 스토리가 연출된다.

NCT(엔시티)의 앨범 “영웅”에 영감을 받은 공간에서는 “I’m Bruce Lee Bruce Lee Bruce Lee”라고 내뱉는 “영웅” 노래 가사처럼 누구나 영웅이 될 수 있음을 표현하는 메시지가 홍원표 팝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해 의상으로 전시된다.

소녀시대의 “Forever 1” 앨범 컨셉에 따라 연출되는 공간은 ‘Dream Forever: Timeless Friendship(영원히 꿈꾸다: 영원한 우정)’이라는 주제로 전시가 이루어지며, 소녀시대의 추억을 간직할 수 있는 의상과 관람객 개인의 추억을 사진으로 담아갈 수 있는 포토부스와 포토존, 이벤트 굿즈 카드를 스티커로 꾸밀 수 있는 스티커 테이블 등 다양한 체험형 콘텐츠로 구성된다.

서울디자인재단 이경돈 대표이사는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케이팝을 DDP 전시로 소개할 수 있어 뜻깊다.”며 “재단은 앞으로도 전 세계인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K-컬처 전시를 기획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이 대통령, 제13차 수석·보좌관 회의 주재 문화, 국력의 핵심···문화생태계 종합 대책 필요"

[뉴스스텝] 이재명 대통령은 제13차 수석 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면서 최근 K-컬쳐를 통해 대한민국의 위상이 한층 높아졌다고 말했다.아울러 문화가 국력의 핵심이라며 문화 생태계 전반을 포괄하는 종합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어, K-팝부터 K-드라마, K-푸드, K-뷰티에 이어 K-데모크라시까지 세계가 주목하는 대상이 됐다고 언급하며 문화의 핵심 영역에 민주주의가 포함돼있다고 강조했다.문화강

전남도, 에너지 미래도시 기획전략본부 신설

[뉴스스텝] 전라남도는 13일 긴급 현안회의를 열고 재생에너지와 인공지능(AI)이 결합된 ‘대한민국 최초의 AI 에너지 미래도시’ 조성을 위해 ‘에너지 미래도시 기획전략본부’를 신설한다고 밝혔다.이번 조치는 정부의 ‘지방 중심 국가균형발전’과 ‘재생에너지 대전환 정책’, 세계적 투자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신설된 전략본부는 미래도시 기본계획 수립 RE100 산업단지 조성 글로벌 AI 데이터

‘월 1만원 보금자리’ 전남형 만원주택 순항…고흥서 기공식

[뉴스스텝] 전라남도의 혁신적인 주거복지 정책인 ‘전남형 만원주택’ 사업이 진도에 이어 고흥에서 두 번째 기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건설에 착수하는 등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전남형 만원주택’은 청년과 신혼부부가 보증금 없이 월 1만 원이라는 상징적인 임대료로 최장 10년간 거주할 수 있는 주거복지 정책으로, 인구 유출로 인한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청년층의 안정적인 지역 정착을 돕기 위해 전남도가 중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