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일자리재단, 여성 IT전문강사 양성과정 운영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4-30 22:06:14
  • -
  • +
  • 인쇄
5. 22 까지 2기 모집, 강원여성들의 사회진출 확산 노력
▲ 강원도일자리재단, 여성 IT전문강사 양성과정 운영

[뉴스스텝] 강원도와 (재)강원도일자리재단은 2년 연속으로 주식회사 KT와 함께 여성들의 IT분야 진출 기반 마련 및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기획된 '강원여성 IT전문강사 인력양성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총 4기에 걸친 기본교육으로 146명의 수료생이 배출됐으며, 올해도 춘천‧원주‧강릉의 3개 권역에서 총 3기에 걸쳐 동시 운영하여 약 150명의 여성 IT전문강사를 양성하고자 한다.

특히, 23년도는 전년도 교육 참여자의 의견을 토대로, 수료생의 지속적인 발전과 역량 있는 강사 발굴을 위한 심화과정(총 30명,8~9월 운영)을 운영할 계획이며,

현재 1기 기본과정에 참여 중인 교육생들은 이론 수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5월부터는 아동센터․경로당 등을 대상으로 실제 강의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강사 실습을 진행할 예정이다.

5월 1일(월)부터 2기 기본과정 총 60명의 교육생을 권역별․과정별로모집 중이며, 참여를 희망하는 여성 구직자는 강원일자리정보망을 통해 편리하게 신청이 가능하다.

교육과정은 KT에서 개발한 스마트과정과 AI/메타버스과정으로 구성 됐고, 교육 강사는 현장에서 활동 중인 KT IT서포터즈가 진행한다.

스마트과정은 실생활에 필요한 스마트폰 활용 강의법, 카드뉴스 제작, 스마트강사 교수기법 등이며, AI/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과정은 가볍게 배워볼 수 있는 자율주행 AI코딩(Zumi), 증강현실(AR&VR) 체험 및 콘텐츠 제작법 등의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과정의 특장점은 다양한 앱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입체적인 강의기법을 전수하고 현장실습 기회와 실습비(회당 3만원, 4회 이내)를 동시에 지원하여 수료 후 강사 활동 가능성을 높인다.

신청자격은 도내 거주 구직여성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수료 후 활동 의지 등을 기준으로 교육생을 선발할 계획이다.

재단 박광용 대표이사는 “지난 4년간 겪은 코로나19로 디지털 세상이 펼쳐졌지만, 아직 생활 속에 자리한 다양한 IT기기․프로그램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분들이 많다”라며, “디지털 불평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을 통해 배출된 강사들이 현장에서 활동하며 지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정선군시설관리공단, 드림위드 앙상블과 함께하는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성료

[뉴스스텝] 정선군시설관리공단은 9월 12일 정선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2025년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을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교육에는 공단 임직원, 정선군 공무원, 정선군체육회 등 유관기관 직원 등 250여 명이 참석했다.장애인식 개선 교육은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및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법정 의무 교육으로, 모든 사업주와 근로자는 연 1회, 1시간 이상 이수해야 한다.특

경상남도의회 건소위 “개발공사 공사채 발행 신중해야”

[뉴스스텝] 경남개발공사가 창원 웅동1지구 개발사업 관련하여 1,000억원 규모의 공사채 발행 신청을 계획 중인 가운데 경상남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가 사업 정상화와 공사의 재정건전성 악화 등에 강력한 우려를 표명했다.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는 12일 제426회 임시회 제1차 회의를 열고 경남개발공사로부터 ‘웅동1지구 개발사업 공사채 발행 사전승인·신청 계획 보고’를 받았다.이 자리에서 건설소방위 소속 위원들은

화순군, 가을철 진드기 매개 감염병 주의 당부

[뉴스스텝] 화순군은 12일 쯔쯔가무시증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기인 가을철을 대비해 진드기 매개 감염병예방수칙 실천을 당부했다고 밝혔다.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을 보유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려 감염되며, 매년 약 6천 명 내외의 환자가 발생한다. 특히 추수철과 단풍철에 환자 발생이 급증하는 것으로 알려져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감염 시 발열, 근육통, 발진과 함께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 딱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