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평역사한옥박물관, 소장품전 '수집과 수집_비교의 미학'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4-28 08:15:23
  • -
  • +
  • 인쇄
오는 30일부터 개최, 수집한 4천6백여 점의 소장품 중 40여 점 전시
▲ 은평역사한옥박물관, 소장품전 ‘수집과 수집_비교의 미학’ 개최안내 포스터

[뉴스스텝] 서울 은평구는 운영하는 은평역사한옥박물관에서 오는 30일부터 10월 12일까지 소장품전 ‘수집과 수집_비교의 미학’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개관 10주년을 맞은 은평역사한옥박물관은 개관 이전부터 지금까지 구입, 기증, 기탁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4천6백여 점의 소장품을 수집했다.

‘수집(收集)과 수집(蒐集)_비교의 미학’은 소장품을 이해하고 아름다움을 느껴보는 전시로, 박물관이 수집한 소장품 중 40여 점을 비교 방식으로 소개하는 총 3부로 구성됐다.

1부 ‘차이(差異)_비슷하지만 다른’에서는 쓰임은 같지만, 형태나 사용 방식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른 유물 10여 점을 소개한다. 유물에는 사랑방의 대표 가구인 ‘서안과 경상’, 수납 가구인 ‘장과 농’, 다양한 문양의 ‘떡살과 다식판’, 긴 밤을 밝혀줬던 ‘등잔대와 촛대’ 등이 전시된다.

2부 ‘우열(優劣)_낫고 못함이 없는’에서는 상황에 따른 쓰임이나 재질이 다르거나 형태와 지역적 특색이 뚜렷한 유물 20여 점을 소개한다. 2부 전시는 멋과 지위의 상징이던 ‘모자’, 아름다움과 실용성을 두루 갖춘 ‘신발’, 한 사람을 위한 상 ‘소반’, 옛 혼수 필수품 ‘반닫이’ 등으로 구성됐다.

3부 ‘공통(共通)_과거와 현대를 잇는’에서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유물 10여 점을 소개한다. 3부 전시에서는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 온도조절을 할 수 없었던 ‘숯다리미‘, 얼음이 꼭 필요했던 ‘냉장고’, 한 번에 한 장만 찍을 수 있었던 유리건판 ‘카메라’, 예법이 존재했던 ‘안경’ 등을 볼 수 있다.

은평역사한옥박물관은 문화유산 보존과 전시·교육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매년 유물 구입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 주민의 기증도 받는 등 은평의 역사와 한옥, 전통문화와 관련한 활발한 자료 수집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표문송 은평역사한옥박물관장은 “소박한 소장품이지만 가르고 잇고 쌓고 돋우는 비교 작업을 하면서 행복했다”며 “대수롭지 않은 것들에게도 고유한 존재 이유를 밝혀주는 것이 우리 공립박물관의 존재 이유이다”고 말했다.

김미경 은평구청장은 “이번 전시로 그동안 우리 박물관의 소장품 수집 활동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수집 방향을 모색하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2025 음성명작페스티벌, 4일간 대장정 성황리 마무리

[뉴스스텝] ‘음성명작에서 피어난 6가지 이야기’라는 주제로 지난 25일부터 28일까지 금왕읍 금빛근린공원에서 열린 2025 음성명작페스티벌이 올해의 음성명작 대상 시상을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올해로 네 번째를 맞이한 음성군 통합농산물 축제인 음성명작페스티벌은 개막부터 축제가 끝나는 날까지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나흘 동안 25만여명이 다녀가 전년도 대비 78.6%의 방문객 증가를 기록하며,

‘춤으로 세계를 품다’ 천안흥타령춤축제에 89만명 방문…"세계적 경쟁력 확인"

[뉴스스텝] 춤으로 세대와 국경을 초월한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가 친환경 드론 라이트쇼를 끝으로 28일 폐막했다.올해 흥타령춤축제는 ‘All that Dance in Cheonan’이란 슬로건으로 24일부터 천안종합운동장과 천안시 일원에서 열렸다.천안시와 천안문화재단은 24일부터 닷새간 89만 4,000명의 국내외 방문객이 축제장을 찾은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61개국 4,000여 명의 무용단과 방문

전남도, 정부 전산 장애 상황 속 도민 서비스 정상화 온힘

[뉴스스텝] 전라남도는 국가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해 도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불편이 예상됨에 따라 수기 처리, 신청기한 연장, 대체 창구 안내 등 방법을 통해 도민 불편 최소화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주민등록등·초본 등 제증명은 읍면동사무소를 직접 방문해 발급받을 수 있으며, 전입신고는 읍면동 수기 접수를 통해 일괄 소급 적용된다.주민등록증 발급 및 재발급은 시스템 복구 시까지 불가함에 따라 과태료는 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