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구, 남영동 음식거리 아트테리어 사업 성료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4-17 08:15:27
  • -
  • +
  • 인쇄
6개월 간 가게 정체성 발굴·강화...심미성, 기능성 두 마리 토끼 잡아
▲ 남영동 음식거리

[뉴스스텝] 서울 용산구가 남영동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아트테리어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아트테리어(Art+Interior)는 소상공인과 지역 예술가의 협업을 통해 가게 개성을 살리는 사업이다.

예술가들에게는 창의력을 펼칠 공간과 일자리를 제공하고 소상공인은 가게 특성을 살린 인테리어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해당 상권은 특색있는 가게가 밀집한 거리로 재탄생 된다.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한 젊은 예술가는 도자기반 회화, 공간디자인, 한국화, 페인팅, 플랜테리어, 시각 디자인 분야 각 1명이다.

대상 업소는 남영동 음식거리 내 휴게음식점 18개소, 미용실 2개소. 구는 가게 특징 및 개선 희망사항을 바탕으로 예술가를 매칭했다.

예술가 박진호씨는 “가게의 스토리와 점주님들의 철학을 디자인과 브랜딩에 반영하려고 노력했다”고 전했다.

‘그때 그 집’은 어두운 골목에서도 가게가 한 눈에 들어오는 레트로 포차로 새롭게 태어났다. 남영 아케이드 내 ‘데일리루틴커피’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시그니처 소품을 갖게 됐다.

▲점주 취향을 반영한 디자인 간판·시트지로 단장한 ‘헤어비즈’, ‘순영 미용실’, ‘강카츠’, ‘하회마을’ ‘맛드림 생태매운탕’, ‘대군해물탕’, ‘옛날감자전’ ▲그린 플랜테리어 시공을 더한 ‘루프탑 스테이’ ▲외벽에 한국화를 페인팅 한 ‘봉이네맛집’, ‘남원 원 추어탕’ ▲기존 분위기와 어울리는 어닝을 설치한 ‘미성중국관’, ‘산성칼국수’ 등도 눈에 띈다.

구는 지난해 남영동 음식거리 활성화를 위해 사업비 1억2백만원을 추경예산으로 긴급 편성했다. 11월 참여 가게를 선정해 예술가 매칭을 돕고 최대 200만원(재료비)을 지원했다. 올해 4월 사업완료.

김선수 용산구청장 권한대행은 “예술가들과 상인들의 적극적인 소통 덕분에 한정된 지원금에도 불구하고 거리에 아름다운 변화가 시작됐다”며 “올 하반기에는 이태원 가게 50곳에 예술가들의 감각을 가미해 상권에 활력을 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구는 2023년 우리동네가게 아트테리어 공모 사업에 선정돼 시비 2억 400만원을 확보했다. 오는 21일까지 보조사업자를 모집해 6월 예술가 선발 및 가게 매칭 후 10월 사업을 완료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서귀포시 예래동, ‘행복솔솔 장터나눔 냉장고’ 이용자 만족도 상승

[뉴스스텝] 서귀포시 예래동은 취약계층 먹거리 나눔 사업인 ‘행복 솔솔 예래동 장터나눔 냉장고’ 사업을 추진하며 지역 내 나눔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올해 2월 개소 한 예래동장터나눔 냉장고는 지역주민, 기업·단체에서 후원하는 식료품, 밑반찬 등을 상시 비치해 관내 취약계층 및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들에게 지원 해오고 있다.현재까지 장터나눔 냉장고 기부 건수는 9월 말 기준 총 140건·1,100만 원 상

고용노동부,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 개최

[뉴스스텝] 고용노동부는 20일 오후 산업안전보건본부에서 안전보건감독국장 주재로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떨어짐, 부딪힘, 끼임 등의 재래형 중대재해가 지속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감축하기 위해 그간의 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독려하기 위하여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는 48개 지방노동관서의 산재예방지도과장, 건설산재지도과장, 광역중대재해수사과장 등 산업안전 관

한정수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현실을 반영한 자체 통계 발굴 필요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한정수 의원(익산 4)은 20일 열린 제422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정확한 통계 없이는 정책도, 행정도 신뢰받을 수 없다”며 “전북자치도의 현실과 특성을 반영한 지역특화 통계 발굴 등 데이터 관리 체계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전북자치도 통계시스템은 도정 주요 지표를 도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정책 수립 및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2007년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