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사회서비스원 인천장애인종합복지관 장애자녀 아빠모임 인기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7 14:25:14
  • -
  • +
  • 인쇄
장애 자녀와 아빠 20명 함께 5개 가정 모집에 10개 가정 신청
▲ 인천장애인종합복지관은 지난 2일 복지관에서 ‘장애자녀 아빠 모임’을 열고 참가 가족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스텝]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소속 인천장애인종합복지관은 올해 처음 시작한 장애 자녀 아빠 모임이 큰 인기를 끌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인천 지역에 사는 장애 자녀와 아빠 10개 가정을 모집했다.

처음 계획은 5개 가정이었으나 관심이 높아 확대했다.

아빠 모임이라는 점을 고려해 지난 2일 토요일 10~15시 인천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열렸다.

“아빠랑 천천히 다시 해볼까?”

16세 발달장애 자녀와 함께 나온 A(53) 씨는 자녀와 이렇게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퇴근 후나 주말에 다른 가족들과 잠시 외출하는 일은 있지만 장시간 단둘이서만 시간을 보낸 적은 없다.

A 씨는 “아이가 벌써 16살인데 아직도 단둘이 있는 일이 버겁다는 게 미안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내에게 프로그램 정보를 듣고 바로 신청했다”며 “생계를 책임져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아이와 시간을 소홀히 생각한 것 같다. 다른 프로그램도 같이하고 싶다”고 말했다.

프로그램은 오리엔테이션, 공감 워크숍, 캐릭터 케이크 만들기 등으로 구성했다.

자기소개에 이어진 공감 워크숍은 서로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시간이다. 각자 양육 경험과 자녀와 관계, 가족 내 역할 등을 이야기하며 공감대를 넓혀갔다.

캐릭터 케이크 만들기는 디자인부터 완성까지 전 과정을 같이하는 작업이다.

아빠와 자녀 사이에 자연스러운 대화가 이어지며 분위가 한층 밝아졌다.

B(44) 씨는 “이번 모임의 취지가 마음에 쏙 들었다”며 “아버지들이 만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자리가 흔치 않아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C(50) 씨는 “다른 가족들의 이야기를 들으며‘내 이야기인데’하고 공감하는 부분이 꽤 있었다”며 “정기 모임으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천장애인종합복지관은 올해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프로그램 다양화나 참여 가족 수 확대 등도 고려한다는 계획이다.

사업을 맡은 박진호 가족문화지원팀장은 “아빠 모임 신청 사유를 보면 ‘그동안 자녀 돌봄은 주로 엄마가 맡아왔지만 이번 기회를 활용해 자녀와 시간을 보내고 싶다’는 내용의 글이 많았다.

진심 어린 마음을 엿볼 수 있었다”며 “아빠와 교감도 자녀에게 매우 중요한 만큼, 내년에도 이 모임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성기황 의원, 석면·방수·냉난방·급식실까지...학교환경 개선 현안 '산적'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성기황 의원(더불어민주당, 군포2)은 14일, 군포의왕·안양과천·광명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석면·옥상방수·냉·난방기 교체·급식실 환경 개선 등 노후화된 학교 시설의 개보수와 조리종사자분들의 작업환경 개선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했다.성 의원은 “석면 제거 사업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계획대로 추진되고 있으며, 2026년이면 전면 완료될 것으로

안산시의회, 연구단체 운영 심의委 위원 위촉식 개최

[뉴스스텝] 안산시의회가 14일 의장실에서 안산시의회 의원 연구단체 운영 심의위원회 신규위원 위촉식을 개최했다.이번 위촉은 ‘안산시의회 의원 연구단체 구성 및 운영 조례’ 개정에 따라 심의위원회를 전원 민간 전문가로 재구성하기 위해 시행된 것으로, 학계와 언론계, 시민사회단체 분야에서 추천된 전문가 5명이 심의위원으로 합류했다.새로 위촉된 위원은 김만균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와 김태형 참좋은뉴스 기자, 김

경기도의회 장한별 의원, “BTL학교 관리·감독 사실상 방치”...다가오는 운영권 만료에 따른 개선 촉구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장한별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수원4)은 14일 경기도교육청 행정국, 운영지원과, 안전교육관에 대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행정국을 대상으로 BTL(Build-Transfer-Lease) 학교에 대한 관리·감독 부실을 지적하고, 학교시설 유지보수 노무 용역 계약의 개선을 촉구했다.장한별 부위원장은 현재 경기도교육청의 BTL 학교 현황과 함께 “BTL 학교의 등기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