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집 백만장자] 서장훈, 미술 애호가였나...박대성 그림에 "몰래 가져가고 싶어" 숨길 수 없는 욕망 드러냈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5 15:45:10
  • -
  • +
  • 인쇄
▲ (사진 제공 = EBS '서장훈의 이웃집 백만장자')

[뉴스스텝] BTS RM이 사랑한 화가 '한국 수묵화 거장' 박대성 화백의 작업실이 '이웃집 백만장자'를 통해 방송 최초로 공개된다. 또 아내인 '성화(聖畵)의 거장' 정미연 화백과의 온기 가득한 일상도 함께 공개된다.

오늘(15일) 밤 9시 55분 방송되는 EBS '서장훈의 이웃집 백만장자'(이하 '이웃집 백만장자')에서는 '한국 수묵화의 거장'이자 '천재 화가' 박대성의 드라마보다 극적인 인생 스토리가 전격 공개된다.

4살 때 불의의 사고로 한쪽 팔을 잃었지만, 오롯이 독학으로 미술계 정상에 오른 그는 '한국화의 신화', '한 팔의 기적'으로 불리며 세상을 놀라게 했다.

특히 박대성은 미술 애호가로 유명한 'BTS RM이 사랑한 화가'로도 잘 알려져 있다.

RM은 미국과 경주, 서울 등지에서 열린 그의 전시회를 여러 차례 직접 찾아 관람하며 '박대성 작품의 팬'임을 인증해 화제를 모았다.

이번 방송에서는 박대성의 아내이자 '성화(聖畵)의 거장'으로 불리는 정미연 화백이 함께 등장한다. 두 사람은 예술로 이어진 특별한 인연과 '부부 화백'의 일상을 공개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둘러싸인 초현실급 아트 하우스와 그 안에 자리한 박대성의 비밀스러운 작업실이 방송 최초로 공개될 예정이어서 더욱 기대를 모은다.

문방사우와 묵향이 가득한 그의 공간에서는 박대성이 붓을 잡는 순간마다 경이로운 긴장감과 감탄이 번진다. 하지만 이내 서장훈과 장예원의 '박대성 제자 도전기'가 시작되며 분위기는 급반전된다.

서장훈은 배운 대로 차근차근 정교한 화풍을 선보이고, 장예원은 거침없는 붓놀림으로 맞붙는다. 자화자찬과 견제가 뒤섞인 두 사람의 폭소 만발 '난치기 대결'이 유쾌한 재미를 선사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서장훈은 박대성의 작품을 향한 숨길 수 없는 '욕망'을 드러낸다. 그는 작품 앞에서 "솔직히 마음 같아서는 안 보실 때 하나 몰래 가져가고 싶은 마음"이라며 특유의 솔직 멘트를 던져 웃음을 자아낸다.

'2조 거인' 서장훈마저 탐내게 만든 박대성의 작품들, 그리고 그 뒤에 숨은 74년 그림 인생의 예술 혼은 10월 15일 수요일 밤 9시 55분 EBS '서장훈의 이웃집 백만장자' 방송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장훈의 이웃집 백만장자' 박대성 편은 10월 15일과 22일, 2주에 걸친 2부작 특집으로 시청자들을 찾아간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공주시, ‘제8회 풀꽃문학제’ 성료

[뉴스스텝] 공주시는 지난 18일과 19일 이틀 동안 공주 하숙마을 일원에서 ‘제8회 풀꽃문학제’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사)나태주풀꽃문학관운영위원회가 주최·주관하고 공주시와 충청남도가 후원하는 이번 문학제는 나태주 시인의 시 ‘풀꽃’의 탄생을 기념하기 위해 2014년부터 시작된 ‘풀꽃문학상’을 기반으로 한다.풀꽃문학상은 매년 전국의 우수 시인 2명을 선정해 시상해왔으며, 2018년부터는 시상식과

세종교육청 2025 교육감배 세종학생체육대회’학생들의 열정, 운동장에서 피어나다!

[뉴스스텝]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은 10월 25일에 육상 종목을 시작으로, 오는 11월 23일까지 세종시 일원에서 ‘2025 교육감배 세종학생체육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학생들의 건강한 체육활동과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행사로, 육상·검도·에어로빅·빙상(피겨) 등 총 14개 종목이 세종시민운동장, 세종시민체육관, 두루초등학교 체육관, 반다비빙상장 등에서 분산 개최된다.참가 학생은 총

인삼향 가득한 ‘풍기애(愛) 살아요’

[뉴스스텝] 영주시 풍기읍은 ‘2025 경북영주풍기인삼축제 · 영주장날 농특산물대축제’ 기간 동안 전입 지원 사업 및 출생축하금 제도 홍보를 위한 ‘풍기愛 살아요’ 부스를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이번 부스 운영은 풍기읍 인구 늘리기 정책의 일환으로, 실거주자 전입을 독려하고 다양한 정착 지원 정책과 저출생 극복을 위한 출생축하금 제도를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인삼향 가득한 풍기애(愛) 살아요’ 부스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