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로 대해줘' 김명수-이유영, 고백키스로 마음 확인! MZ 선비 김명수, 선을 넘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6-11 19:30:01
  • -
  • +
  • 인쇄
▲ [사진제공 : '함부로 대해줘' 영상 캡처]

[뉴스스텝] 김명수, 이유영이 완전한 '복도 커플'이 됐다.

어제(10일) 방송된 KBS 2TV 월화드라마 ‘함부로 대해줘’(극본 박유미 / 연출 장양호 / 기획 KBS / 제작 판타지오 / 원작 네이버웹툰 '함부로 대해줘' 작가 선우)

9회에서는 마침내 신윤복(김명수 분)과 김홍도(이유영 분)가 쌍방으로 향하는 마음을 확인해 많은 이들을 잠 못 이루게 만들었다.

어머니를 떠나보낸 신윤복은 하고 싶은 것을 찾기 위해 웹툰 작가이자 김홍도의 동생인 김홍학(한기찬 분)을 찾아가 문하생으로 받아줄 것을 요청했다.

문하생이 된 후 김홍도의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진 신윤복은 함께 밥을 먹거나 만화책을 보고, 출근 잘 하라는 인사를 나누는 등 자연스럽게 김홍도, 김홍학 남매의 삶에 침투했다.

무엇보다 신윤복은 엄격하게 세웠던 선을 넘어 김홍도에게 다가갔다.

스승의 그림자를 밟을 수 없다고 했던 신윤복은 김홍도에게 직접 머플러를 둘러주거나 높은 곳에 있는 접시를 대신 꺼내주기 위해 밀착까지 서슴지 않았다.

김홍도는 자신을 바라보는 신윤복의 애정 가득한 눈빛과 표정에도 그럴 일은 없을 거라고 스스로를 채찍질했지만 피어오르는 기대까지 억누를 순 없었다.

알고 보니 이 모든 것은 신윤복의 은근한 표현이었다. 신윤복은 김홍도를 향한 마음이 존경심 이상이었단 걸 깨달았고 저만의 방법과 속도로 김홍도에게 다가갔다.

때문에 신윤복은 자신의 감정을 사랑이 아닌 존경심으로 오해해 피하는 김홍도에게 파워 직진을 감행, 좋아한다는 말과 함께 입맞춤을 나눴다.

신윤복과 김홍도는 힘들 때, 외로울 때 서로의 존재를 떠올리며 그 시기를 버텨냈다.

웹툰 학원 시절부터 재회 후까지 켜켜이 쌓은 애정과 신뢰는 두 사람을 단단하게 만들었고 좋아하는 마음을 확인하는 순간까지 오게 된 것. 긴 시간을 돌아왔지만

서로에게 유일한 존재, 연인이 된 신윤복과 김홍도가 어떤 모습으로 시청자들을 흐뭇하게 만들지 두 사람의 행보에 기대가 모아진다.

한편, 성산관을 운영 중인 이준호(박은석 분)가 문화재인 접선(摺扇)으로 수상한 일을 벌이고 있어 그를 향한 의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준호는 어렸을 때부터 자신을 엄하게 대한 신수근(선우재덕 분)에게 상처와 분노의 감정을 가지고 있기에 그의 행동이 성산마을, 그리고 신윤복에게 미칠 영향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돌고 돌아 연인으로 발전한 김명수, 이유영을 만날 수 있는 KBS 2TV 월화드라마 ‘함부로 대해줘’는 오늘(11일) 밤 10시 10분에 10회가 방송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속초시, 고위직이 먼저 바꾼다! 성평등 조직문화 확산 앞장

[뉴스스텝] 속초시는 11월 10일 시청 신관 대회의실에서 이병선 시장을 비롯한 5급 이상 고위직 공무원 44명을 대상으로 ‘4대 폭력 예방 및 도란도란 토론으로 키우는 성인지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성희롱·성매매·성폭력·가정폭력 등 4대 폭력 예방을 위한 법정 의무교육으로, 단순한 강의식이 아닌 토론과 참여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속초시는 이번 교육을 통해 공직사회의 성인지 감수

이천시 관고동, 챗지피티(Chat GPT) 2급 자격 과정 운영

[뉴스스텝] 이천시 관고동 주민자치회는 전국민 인공지능(AI)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직원, 학습센터 강사, 주민자치위원 등 14명을 대상으로 챗지피티(Chat GPT) 2급 자격 과정을 11월부터 매주 토요일 총 4회 운영한다고 밝혔다.관고동 주민자치학습센터는 지난 8월 행안부에서 발표한 전국민 인공지능(AI) 전사화 초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내년도 전국민 인공지능(AI) 교육 전면 시행에 앞서 인공지능(A

경상남도의회, 직업교육 취업률 급락·이주배경학생 지원확대… “학생 중심 정책 전환” 촉구

[뉴스스텝] 경상남도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이찬호)는 제428회 경상남도의회 정례회 기간 중 4일차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밀양교육지원청, 창원교육지원청, 창원도서관, 교육정보원을 대상으로 교육행정의 현안과 정책 추진 실태를 점검했다. 이날 감사에서는 직업교육 취업률 하락, 체육행정의 편중 운영, 이주배경학생 지원 미비, 과밀학급, 미래학교공간재구조화 사업, 교원 성희롱 재발 방지 등 교육현장의 주요 문제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