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강호동, 채널S에서 펼친 ‘변화무쌍’ N차 도전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1-09-29 16:41:10
  • -
  • +
  • 인쇄
어린이 눈높이 ‘잡동산’?본격 강셰프 ‘위대한 집쿡 연구소’
▲ <사진 제공> 채널S
[뉴스스텝] 새로운 종합 엔터테인먼트 채널인 채널S가 MC 강호동과 함께 변화무쌍한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채널S의 개국 프로그램으로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직업소개 프로그램 ‘잡동산’부터 예능 최초로 ‘밀키트’에 대한 모든 것을 파헤치는 ‘위대한 집쿡 연구소’까지 트렌드에 맞춘 신선한 기획과 볼거리로 차별화된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채널S는 SK브로드밴드의 자회사 미디어S의 종합 엔터테인먼트 채널로 전체 프로그램의 70% 이상을 오리지널 제작 콘텐츠 및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의 제휴를 통한 방송 독점 프로그램으로 편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론칭 3개월 만에 최신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종합 예능 채널로 자리매김했다.

채널S는 개국부터 MC 강호동과 색다른 도전을 선보였다.

첫 도전은 강호동과 어린이의 눈높이를 맞춘 ‘잡동산’이다.

집을 구하는 부동산 콘셉트를 직업과 접목시킨 ‘잡동산’은 참신한 기획으로 어린이 시청자와 부모 시청자들의 흥미를 자극했다.

‘호동 부동산’의 사장 강호동과 잡 중개인 은혁, 승관은 매주 주제에 맞는 직업을 선정해 어린이 고객들에게 다채로운 직업을 소개했다.

잡 주인의 생생한 경험담을 바탕으로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 ‘잡동산’은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직업 탐구로 착한 예능의 진수를 보여줬다.

이어 채널S는 지난 8월 26일 MC 강호동의 주특기인 음식과 요리의 조합을 보여주는 ‘위대한 집쿡 연구소’를 론칭했다.

‘위대한 집쿡 연구소’는 코로나 시대, 집콕 생활이 길어지면서 ‘오늘 뭐 먹지?’라는 고민이 깊어진 가운데 연예계 최고의 요리 장인 강호동, 김준현, 이특이 실제 판매되는 다양한 ‘밀키트’에 대해 알아보고 ‘결정적인 한 방’ 레시피로 세상 어디에도 없던 특별한 요리를 탄생시키는 쿡 버라이어티다.

강호동은 ‘강셰프’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요리에 대한 프로페셔널한 실력을 뽐냈다.

‘위대한 집쿡 연구소’를 통해 본격 ‘강셰프’로 그만의 밀키트 요리 노하우를 공개하며 시청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또한 다른 한 명의 요리 장인 김준현과 펼치는 치열한 요리 대결은 볼거리에 재미를 더한다.

SNS에는 이들의 레시피를 따라 하고 인증하는 게시물들이 쏟아지며 높은 화제성을 보여주고 있다.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잡동산’부터 밀키트의 색다른 변신을 보여준 ‘위대한 집쿡 연구소’까지, MC 강호동이 채널S를 통해 보여주는 변화무쌍한 ‘N차 도전’은 앞으로도 계속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포항시 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 최우수쉼터 평가…성평등가족부 장관상 수상

[뉴스스텝] 포항시는 지난 5일 서울 연세 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년 청소년복지시설 운영성과 보고대회’에서 포항시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가 최우수쉼터로 평가받아 성평등가족부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성평등가족부는 전국 청소년복지시설 쉼터를 대상으로 3년마다 시설환경·안전관리 등 6개 분야에 걸친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는 총 134개 청소년쉼터가 대상이었다.포항시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는 S등

창원특례시, 비수도권 특례시 제도 개선 논의의 장 마련

[뉴스스텝] 창원특례시는 6일 리베라컨벤션에서 비수도권 특례시가 직면한 제도적 한계를 진단하고 실질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문가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창원시자치분권협의회가 주관하고 창원특례시가 주최했다. 인구감소와 제도적 한계로 인한 비수도권 특례시의 어려움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발전과 실질적 권한 확보를 위한 정책적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자성

보령시 식품안전관리 강화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직무교육’ 실시

[뉴스스텝] 보령시는 6일 보령시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16명을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직무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식품위생법' 제33조에 따라 실시된 정기교육으로,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의 기본소양 및 직무역량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교육은 2025년 식품안전관리 정책 방향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운영 식품위생 감시 사례를 통한 소비자식품위생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