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 잘 파놓은 우물 하나, 7개 마을주민이 덕 봐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2 17:50:50
  • -
  • +
  • 인쇄
영암군 서호면 유태경 이장단장, 4년째 관정 무료 개방…농업용수 등으로 각광
▲ 영암군 잘 파놓은 우물 하나, 7개 마을주민이 덕 봐

[뉴스스텝] 영암군 서호면 엄길마을에서 농사를 짓는 전태영 씨는, 최근 기록적 폭염에도 농업용수 걱정이 크지 않다. 무더위에도 깨끗한 물을 비교적 손쉽게 얻을 수 있어서다.

35도를 웃도는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린 19일 낮도 마찬가지. 기온이 오르자 전 씨는 커다란 물통이 실린 1톤 트럭을 몰고 집을 나섰다.

인근 효성마을의 관정에서 한 번에 20분 정도 물을 받아 콩, 옥수수 등을 재배하는 1ha 밭에 서너 차례 뿌렸다. 시들하던 작물들은 언제 그랬냐는 듯 다시 탱탱하게 살아났다.

4년 전부터 이곳의 물을 이용하는 전 씨는, “주로 7~9월에 많이 이용한다. 농사를 짓다 보면 깨끗한 물이 필요할 때가 많은데, 이 관정 물이 딱 적당하다. 요즘은 하루에 4~8톤을 길어가는데, 이 우물이 생긴 뒤로는 폭염에도 물 걱정 없이 농사짓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정은 유태경 서호면 이장단장의 소유지만, 전 씨의 경우처럼 가까운 7개 마을주민이 함께 쓰고 있다. 유 단장은 가뭄이 심했던 2020년 전라남도와 영암군의 지원을 받아 자신이 살고 있는 효성마을에 3마력짜리 지하수 관정을 개발했다.

그는 “과거 다른 곳의 관정을 이용할 때 눈치를 보고, 허락을 받아야 했다. 이런 불편 없이 누구나 쓸 수 있도록 관정을 계획할 당시부터 개방해야겠다고 결심했다”고 밝혔다.

유 단장의 바람대로 관정의 물은 다양한 사람들이 알뜰살뜰하게 쓰고 있다. 특히, 농번기에는 농업용수로, 봄과 가을에는 가로수·화단 정비와 산불 진화용 소화수로 여러 마을주민들로부터 각광을 받고 있다.

유 단장은 “많은 사람들이 불편 없이 농업용수로 이용하니 기쁘고 보람도 된다. 이용하는 분들이 자기 것처럼 깨끗이 써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영암군은 유 단장의 물 나눔을 돕기 위해 관정 주위에 무더위쉼터를 설치했다.

우승희 영암군수는 “가뭄 해결을 위해 설치한 관정의 물 나눔이 옛 마을공동체의 상부상조하던 미담을 재현하고 있다. 다른 영암의 관정들도 유 단장님의 우물처럼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도록 개방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4년 8월 현재 영암군의 관정은 총 3,270개다. 영암군은 과수·채소 등 원예특작 농가에 보조사업으로 관정 설치비의 50%를 지원해 주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고창군, 여성일자리 네트워크 구축 간담회

[뉴스스텝] 고창군이 지난 18일 여성취업 육성을 위한 2025년 여성취업 인식전환 교육 및 네트워크 구축 간담회를 열었다.이날 간담회는 여성일자리 취업연계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는 재가노인복지센터장과 고창군 새일센터 담당자 등 30여명이 참석했다.여성이 일하기 좋은 고창군을 만들기 위해 여성친화기업, 아이돌봄센터 종사자 등과 매년 네트워크 간담회를 추진하고 있다. 취업연계 관련 업무를 공유하고 제빵 체험을

연천군, 화재대피용 방연마스크 비치‧지원 근거 마련

[뉴스스텝] 연천군의회는 2025년 9월 18일 제296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윤재구 의원이 발의한 ‘연천군 화재대피용 방연마스크 비치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의결했다. 해당 조례안은 화재 발생 시 연천군민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고 안전한 환경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연마스크 비치 및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윤재구 의원은 “화재 시 연기와 유독가스는 가장 큰 위험요인이며, 이를 막

화성특례시 아동돌봄기관 '행복한 아동, 행복한 미래'제3회 행복한 아동사진전 개최

[뉴스스텝] 화성특례시가 오는 30일까지 시립 왕배푸른숲 도서관에서 ‘행복한 아동, 행복한 미래’를 주제로 ‘제3회 행복한 아동사진전’을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사진전은 화성시 거점 아동돌봄센터인 다함께돌봄향남센터가 주관한 전시로, 아동의 행복과 권리 존중의 가치를 알리고 관내 아동돌봄기관들의 협력을 통한 유대감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됐다.거점 아동돌봄센터는 지역의 다양한 돌봄기관 연계 및 지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